12운성 사용법
[중급 4강] 12운성 사용법
안녕하세요.
지난 강의에 이어 12운성을 계속 공부합니다.
반복되는 부분이 있으나 복습하신다 생각하시고 인내심을 발휘해 보시길..
그럼 오늘 강의를 시작하겠습니다.
12운성의 이해
12운성은 격용론을 중심으로 사주풀이를 하는 기존의 학계에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10천간의 생로병사를 보여주는 아주 중요하고 정밀한 해석수단이므로 반드시 익혀두어야 한다.
특히 세운에 적용되는 바가 크니 실전에서 적극 활용하기 바란다.
일명 포태법이라고 하며, 천간이 각 지지를 만나 죽고 사는 문제를 자세히 설명해 놓은 것이다.
천간은 하늘이고 지지는 땅인데, 천간은 능동적인 남자를 말하고 지지는 수동적인 여자를 말한다.
각 천간이 12지지를 돌아가면서 만나는 상태를 생왕묘절(生旺墓絶)로 표현하며, 이것은 생극(生剋) 원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음간과 양간의 생사가 다르니 그 이치를 잘 알아야 한다.
12운성에서 양간(甲, 丙, 戊, 庚, 壬)은 순행하고 음간(乙, 丁, 己 ,辛, 癸)는 역행한다.
모든 사물은 음양을 가지고 있으며, 양이 극단으로 가면 음이 생기고 음이 극단으로 가면 양이 생기는 것이다.
12운성을 오행으로만 구분하고 음양으로 구분 짓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음간의 역행을 사용하지 않고 양간의 순행만을 사용하여 오행으로 묶어서 사용한다는 것이다.
모든 학설의 취사는 학인들의 몫이며 다만 우리는 오행으로 보는데, 필요에 따라 음간도 본다고 하겠다.
12운성은 12개의 지지를 각 천간이 胎에서 출발하여 絶까지 12개의 이름을 붙이는데, 기운이 점차 왕성해졌다가 쇠약해지고, 다시 왕성해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대한 명칭으로 볼 수가 있겠다.
이는 인간사 뿐 아니라 만물이 생성하고 소멸하는 자연운동의 이치가 거기에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또 음양의 생로병사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며, 三合의 구성 원리가 12운성에 의한 것임도 알 수가 있다.
三合을 풀어 놓으면 12운성이 되고 12운성을 모아 놓으면 三合이 되는데, 이것이 12운성이 三合의 구성 원리인 것이다.
(예) 申 子 辰이 三合이 되는데 결과물은 壬(水)이다.
壬(水)를 12운성으로 살피면
申 --- 장생 子 --- 제왕 辰 --- 입묘
모든 삼합이 위와 같은 원리로 되어 있어서 동일한 운동성을 추구하는 집단으로 묶어서 분류하여 사용을 한다.
1. 12운성의 의미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
生 浴 帶 官 旺 衰 病 死 墓 絶 胎 養
가. 성장기
생(生)은 처음 태어난 것을 말한다.
욕(浴)은 태어난 후에 목욕을 하는 것을 말한다.
대(帶)는 목욕 후에 띠를 두른다는 의미로 옷을 입는다는 말이다.
관(官)은 장성하여 벼슬길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왕(旺)은 성장의 절정기로 왕성하다는 것을 말한다.
나. 쇠퇴기
쇠(衰)는 왕성한 시기를 지나 쇠해지는 것을 말한다.
병(病)은 병이 들었다는 것을 말한다.
묘(墓)는 죽어서 땅 속에 매장됨을 말한다.
절(絶)은 모든 것이 끝나고 끊어진 상태를 말한다.
다. 새로운 시작
태(胎)는 아이를 배다, 새로운 시작, 태아를 말한다.
양(養)은 기르다, 성장하다로 뱃속에서 자라는 것을 말한다.
12운성을 살필 때, 천간육친은 그대로 대입하고,
지지는 천간화 하여 대입을 한다.
寅은 甲으로
卯는 乙로 대입하는 방식이다.
2. 12운성의 세운 적용법
일간의 적용은 일간의 강약을 판단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보면 되고
대운의 적용도 미미하다.
하지만 육친의 세운 적용은 그 작용력이 매우 크다.
(가) 장생운을 만났을 때
새로운 일을 시작하여도 좋다
(나) 목욕운을 만났을 때
약간의 어려움은 있으나 점차 좋아진다.
(다) 관대운을 만났을 때
식상, 재성이면 사업이 번창하고, 관성, 인성이면 승진의 기회가 온다.
(라) 건록운을 만났을 때
경사가 있고 재물이 발전한다.
(마) 제왕운을 만났을 때
최고의 순간이다, 기쁠 일이 많겠다.
(바) 쇠운을 만났을 때
아직 기운이 남아 있으나 점차 기울어진다.
(사) 병운을 만났을 때
쇠퇴한 기운이 점차 뚜렷해진다.
(아) 사운을 만났을 때
어떠한 일도 마무리 지어야 하는 때이다.
(자) 묘운을 만났을 때
사업 실패나 육친의 사별, 이별을 경험한다.
(차) 절운을 만났을 때
모든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
(카) 태운을 만났을 때
새로운 일은 작게 시작해도 좋다.
(타) 양운을 만났을 때
점차 자라고 있는 상태이다.
3. 10천간과 12운성
10천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12운성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
生 浴 帶 官 旺 衰 病 死 墓 絶 胎 養
10천간을 12지지에 각각 대입을 하면 천간과 지지의 조합이 120개가 된다.
각 천간에 12운성을 대입시켜 눈에 익혀 두면 앞으로 명리를 공부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반복이 많다는 것은,
그 만큼 중요하다는 말씀!
오늘 강의의 핵심,
12운성은 세운에 작용력이 매우 크다는 사부님의 말씀!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고문헌 : 월인천강新사주학(저자 서해 스님)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