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시간의 학문 명리학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운의 변화.
음양(陰陽)이 분화하여 오행(五行)이 되고 오행이 분화하여 10천간(十天干)이 되며 10천간이 분화하여 12지지(十二地支)가 된다. 사계절의 기운이 분화하여 열가지 하늘의 기운이 되는 것이 10천간이다. 그리고 천간의 기운이 다시 지상으로 내려와 12지지가 된다는 것이다. 하늘의 기운과 땅의 기운을 합하여 22간지(二十二干支)라고 부른다. 우주의 기운이 지구를 생성하는 분화 과정을 설명해 놓은 학문이 바로 사주학이다.
오행에서 봄을 뜻하는 木에 기운이 분화하여 10천간에서는 甲과 乙이 되는데 甲은 하늘에 낙뢰를 말하고 乙은 하늘에 바람을 뜻한다. 오행에서 여름을 뜻하는 火에 기운이 분화하여 10천간에서는 丙과 丁이 되는데 丙은 하늘에 태양을 뜻하고 丁은 하늘에 별을 뜻한다. 오행에서 양(陽)의 기운과 음(陰)의 기운을 연결해 주는 土에 기운이 분화하여 10천간에서는 戊와 己가 되는데 戊는 양기운에 극단을 의미하고 己는 음기운의 시작을 의미한다.
오행에서 가을을 뜻하는 金에 기운이 분화하여 10천간에서는 庚과 辛이 되는데 庚은 하늘에 달을 말하고 辛은 서리를 뜻한다. 오행에서 겨울을 뜻하는 水에 기운이 분화하여 10천간에서는 壬과 癸가 되는데 壬은 하늘에 이슬을 말하고 癸는 하늘에 비를 말한다. 이렇게 오행에서 분화된 10개의 천간은 사주팔자에서 사람의 성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사용이 된다. 10천간은 정신적인 상황이나 기운을 분석하는데 사용이 된다.
음양(陰陽)
오행(五行) : 木 火 土 金 水
10천간(十天干) :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12지지(十二地支) :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 음양오행 천간지지는 시간별로 변화하는 대자연의 기운을 표시한 기호이다.
10천간이 다시 지상에 12지지로 분화가 되는데 천간에 甲은 지지에 寅으로 초봄을 의미하고 천간에 乙은 지지에 卯 로 늦봄을 의미하며 辰은 봄과 여름을 이어주는 작용을 한다. 천간에 丙은 지지에 巳로 초여름을 뜻하며 천간에 丁은 지지에 午로 늦여름을 뜻하고 未는 여름과 가을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천간에 庚은 지지에 申으로 초가을을 의미하고 천간에 辛은 지지에 酉로 늦가을을 의미하며 戌은 가을과 겨울을 이어주는 작용을 한다.
천간에 壬은 지지에 亥로 초겨울을 뜻하며 천간에 癸는 지지에 子로 늦겨울을 뜻하고 丑은 겨울과 봄을 연결해 주는 작용을 한다. 음양에서 시작하여 12지지까지 분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무극에서 태극으로 태극에서 사상으로 사상에서 가벼운 것은 하늘에 10가지 기운으로 무거운 것은 땅에 12가지 기운으로 형태를 잡아가는 우주에 변화과정이며 지구형성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주학은 이렇게 원대한 의미를 함축하고 우리에게 우주에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사주학을 배우지 않았어도 오행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은 달력에서 찾아 볼 수가 있다. 일주일은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인데 태양을 뜻하는 日과 달을 뜻하는 月을 빼고 나면 화 수 목 금 토가 오행인 것이다. 12지지는 달력의 월 속에 들어 있는데 寅월은 음력 1월이고 卯월은 음력 2월이며 辰월은 음력 3월이다. 하루에 시간을 12시간으로 분류하던 옛시절에는 밤 11시 부터 새벽 1시까지를 子시라고 불렀으며 축시, 인시 등 12지지를 이용하여 시간을 사용하였으며 자신이 태어난 해의 띠를 12가지로 분류하여 쥐띠생, 소띠생, 호랑이띠생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서 해[西海] 합장_()_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