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1

기초3강. 천간과 지지

서 해(西海) 2020. 8. 18. 10:26

지난시간은 음양과 오행을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오행에서 10천간과 12지지가 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1. 음양(陰陽)

2. 오행(五行)

3.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4. 천간(天干)의 이해

5. 지지(地支)의 이해

6. 합(合)

7. 충(沖), 형(刑)

8. 지장간

9. 육친(1)

10. 육친(2)

11. 12운성과 12신살, 공망

12. 사주정립법

제 3강.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오행에도 각각 음양이 있어 木이 甲과 乙로 분화되고, 火는 丙과 丁으로, 土는 戊와 己로,

金은 庚과 辛, 水는 壬과 癸로 분화가 되어 10천간이 됩니다.

목에서 분화된 甲은 양(陽)이고 乙은 음(陰)이 됩니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丙은 양 ,丁은 음, 戊는 양, 己는 음, 庚은 양, 辛은 음, 壬은 양, 癸는 음이 됩니다.

이렇게 분화가 된 10가지 기운을 10천간이라 부르고 천간은 하늘의 기운을 뜻하고

사람의 정신적인 면이나 의지을 상징합니다. 하늘의 특정한 에너지를 상징하는 기호와 같습니다

 

10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이런 10천간이 12개의 지지로 분화가 일어나는데 지지는 천간의 상대적 개념으로 땅의 기운이며

순수한 기운을 가진 천간과는 달리 지지 속에는 지장간이라는 기운이 내포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변화가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0천간에서 다시 다음과 같이 분화가 되어 12지지가 됩니다.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寅 卯 巳 午 辰戌 丑未 申 酉 亥 子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土는 사계절을 연결해주는 작용을 하여 지지가 4개로 분화가 되고 각 계절과 계절사이에 자리를 합니다

12지지는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데, 호랑이띠 말띠 개띠 등 태어난 해를 의미하는 12가지 띠를 의미합니다.

또 1년은 12달이 됩니다 . 시간도 12시간으로 표기됩니다.

지금은 24시간을 사용하지만 옛날 사람들은 자시 축시 인시 이렇게 하루를 12시간으로 분류하여

사용했습니다. 12 지지에 계절, 절기도 표현했습니다.

지금까지 천간과 지지의 분화과정을 알아 보았고

이제는 이렇게 분화된 천간과 지지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천간의 역할

10천간은 하늘에서 흐르는 오행의 기운으로 양(陽)에 속하며 12지지는 사계절이 순행하는

순서로서 형체가 있고 질이 있어 음에 속하며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만물을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10천간과 12지지는 서로 의지하며 연관되어 운행하고 있습니다

천간이 연극의 주인공이라면 지지는 조연이고, 천간이 정신적 의지라면 지지는 행동과 현실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사주를 분석할 때 천간에 드러나 있는 글자가 지지에 뿌리가 없다면 생각만 있고 행동이 없는 것으로

쓸모가 없는 글자가 됩니다.

천간의 기운을 계절과 운동성으로 구분해보겠습니다

 

(1) 계절의 구분

봄(木)이 분화하여 갑과 을이 되었으니 갑은 초봄이고 을은 늦봄입니다.

여름(火)이 분화하여 병과 정이 되었으니 병은 초여름이고 정은 늦여름입니다.

가을(金)이 분화하여 경과 신이 되었으니 경은 초가을이고 신은 늦가을입니다.

겨울(水)이 분화하여 임과 계가 되었으니 임은 초겨울이고 계는 늦겨울이 되는겁니다.

 

(2) 운동성 구분

甲은 초봄에 음기를 뚫고 일직선으로 솟아오르는 운동이고, 乙은 늦봄에 느슨한 음기로 인하여

여러방면으로 펼쳐 지는 운동입니다.

丙은 초여름에 사방팔방으로 발산하고 꽃 피우는 운동이고, 丁은 늦여름에 최고조의 발산과 확장운동 입니다.

戊는 펼치고 발산하는 양 운동의 극단이며, 己는 양 운동을 끝내고 음 운동의 시작입니다.

庚은 초가을에 메마르고 딱딱해지며 결실을 맺는 운동이고, 辛은 늦가을 모든 발산운동을

마무리 짓고 열매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운동입니다

壬은 초겨울로 응집시키고 모으려는 운동이고, 癸는 늦겨울로 수렴하고 저장하려는 운동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2. 지지의 역할

지지는 천간의 기운이 지상에 내려와 그 운기를 펼치는 모습이며, 구체적으로 우리들 삶의

시간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루를 12구간으로 나누어 시간대별 운동성에 따라 12지지 이름을

붙였고, 1년을 12구간으로 나누어 그 기간동안 일어나는 운동성에 따라 12지지 이름을 붙혔습니다.

또 寅卯辰 월을 봄, 巳午未 월을 여름, 申酉戌 월을 가을, 亥子丑 월을 겨울이라고 부릅니다.

이렇듯 명리는 시간과 기운의 학문이며, 우리 삶 가까이에서 느끼고 볼 수 있는 생활철학입니다.

지지의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1) 천간의 뿌리 역할

천간의 뿌리 역할이란 하늘의 뜻이 지상에서 실현 될 수 있도록 밑바탕이 되어 주는 것으로

천간이 지지에 뿌리를 두지 못하면 생각이나 의지로 끝나고 현실에 사용하기가 어렵다고 봅니다.

(2)12지지 고유의 역할

12지지는 각각의 지지가 갖는 고유의 특성이 있습니다. 이 고유한 특성은 계절에 따라서 변화하기도

하고 또는 합, 충, 형 등의 변화에 의해 여러가지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본래 갖고 있는 고유한

성정을 제대로 이해 해야 합니다.

사계절에서 분화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운동성을 관찰할 수 있는 1개월 단위의 운동으로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 있습니다.

12지지가 각각 글자마다 어떤 운동성과 기질을 내포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3) 계절의 역할

寅卯辰은 동방, 봄의 계절이고, 巳午未는 남방 여름의 계절이며, 申酉戌은 서방 가을의 계절이 되고

亥子丑은 북방 겨울의 계절이 됩니다. 土가 각각 계절의 끝으로 배치됩니다.

(4) 기운의 구분

12지지를 3가지 기운으로 분류하여 구분할 수가 있습니다

寅申巳海 는12운성으로 생지가 되며, 12신살은 역마에 해당하는 자리가 됩니다.

寅목은 丙화의 장생지가 되고 , 申금은 임수의 장생지가 되며, 巳화는 경금의 장생지가 되고 亥수는

갑목의 장생지가 됩니다.

생지의 특성은 기운이 형성되어 활발하게 움직이는 때라고 보면 됩니다.

子午卯酉는 12운성에서 왕지라하며 패지라고도 합니다. 子는 壬수의 왕지가 되며 午는 丙화의

왕지이며, 卯는 甲목의 왕지이고, 酉는 庚금의 왕지가 됩니다.

辰戌丑未는 묘지 또는 고지라고 하며 가두어 저장하는 창고의 의미와 기운이 다하면 죽게되는 묘지의

의미이고, 12신살로는 화개의 작용이 일어나는 곳이 되어 정신적인 세계에 관심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까지 천간과 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천간에 대해 보다 깊이있게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fe.daum.net/92301998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