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1

중급4강. 육친의 확장

서 해(西海) 2020. 8. 20. 09:39

안녕하세요~ 본원17기 서연입니다.

모두가 잠든 밤에 제법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생각에 잠기는 것도 참 멋진 일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잠든 듯한 고요도 아름답고, 어둠을 밝히는 가로등 불빛도 아름답고,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움트는 생명도 아름답습니다.

子시가 가지는 이런 비밀스럽고 깊이있는 사유가 대단히 마음에 듭니다.

부디 알람은 꺼두었길 바라며.. 편안한 밤 되시길 바랍니다.

이번시간은 육친의 확장과 그 변용법에 대한 학습을 함께 해 보려고 합니다.

사주의 꽃, 육친의 세계로 풍덩 빠져 볼 준비 되셨나요?

― 목차 ―

1. 사주에 없거나 부족한 오행과 육친

2. 사주에 강한 오행과 육친

3. 근묘화실과 위치에 따른 육친 변용법

4. 육친의 확장과 변용법

5. 지장간과 월령용사

6. 12운성과 12신살

7. 격국용신론

8. 공망(空亡)

9. 사주팔자의 해석 순서

10. 사주 감명의 핵심

11. 당사주 보는 법

12. 래정법

제4강. 육친의 확장과 변용법

육친은 사주의 꽃이라 하는데 자연 현상을 인간의 운명과 연결 짓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육친은 인간관계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육친을 정리함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육친의 상생과 상극의 관계에 빠지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오행으로 水 가 木을 생한다는 상생을 22간지에서 그대로 적용하면 안 된다는 것 이지요.

 

재성이 관성을 생한다는 상생원리도 22간지에서 그대로 적용을 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격각살 등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재성이 관성을 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 입니다.

육친은 우선 인간관계로 정리하겠지만 여러 가지 사물로의 정리도 잘 정리를 하셔야 합니다.

기초 편에서 육친의 정리는 잘 정리하셨으리라 보고 이번에는 육친의 원리를 정리하겠습니다.

 

인간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부와 명예를 추구하면서 살아가는데 재성과 관성은 본인이 직접

주관하기는 어렵고 도구를 이용해서 갖는다는 것입니다.

 

육친사이에도 짝이 있습니다. 재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상을 이용해서 갖고

관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성을 이용해서 갖는다는 말입니다.

재성과 식상은 짝이고 관성과 인성은 짝이란 말이 그러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또한 짝이 된 식상은 재성을 생하고 재성은 식상을 극하는 인성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관성은 인성을 생하고 인성은 관성을 극하는 식상을 막아주는 서로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목(木)ㅡ본인

수(水)ㅡ인성 화(火)ㅡ식상

(관성을 쓰는 도구) (재성을 쓰는 도구)

↓ ↓

금(金)ㅡ관성 토(土)ㅡ재성

(직업, 명예) (재물, 시장)

↓ ↓

관성과 인성이 짝 식상과 재성이 짝

(직장 사주) (상업 사주)

 

이렇게 재성과 관성을 쓸 수 있는 식상과 인성이 있느냐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또 중요한 것은 육친을 인간관계로만 한정지어 해석을 하면 단조롭고 육친을 물상으로 확장을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우리 학회가 추구하는 명리학은 항상 물상으로 확장이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많은 연습이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기초 편에서 함께 살펴보았던 육친의 성격, 물상, 건강, 나이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법 등을 활용하여

육친의 확장을 연습해보겠습니다.

 

자동차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 비 겁 : 배기량 cc (경쟁심, 체력, 압력이 세다)

* 식 상 : 가속기 (가속기ㅡ 발산, 전진)

* 재 성 : 연료 .밥, 밧데리. 신체로 보면 피,목숨,돈

* 관 성 : 신호등 (정관), 경찰관 (편관은 힘들고 피곤)

* 인 성 : 브레이크 (정인), 주차장 (편인)

 

장사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 비 겁 : 지지기반 ,끈기, 버티는 힘, 비겁이 없으면 동업이라도 해야 함.

* 식 상 : 만드는 것 (물건) , 식신- 생필품. 새집. 상관- 기호식품, 헌차, 경매.

* 재 성 : 점포

* 관 성 : 세무서, 협회(편관), 손님(정관)

* 인 성 : 휴일, 휴가(정인), 폐업, 부도(편인)

 

또한 언제든지 재성 운이 오면 좋다는 해석은 맞지가 않습니다.

시기에 따라서 재성 운이 좋을 수도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초 년 (1~20세) 에는 성장기 이므로 관성, 인성 운이 좋고

* 중 년 (20~40) 에는 직장을 다니거나 장사를 하여 생활을 영위해야 하므로 관성, 재성 운이 유리하며

* 장 년 (40~60) 에도 재성, 관성 운이 좋으며

* 노 년 (60이상) 에는 인성, 비겁 운이 여유롭고 건강한 말년이 되겠습니다.

 

재성 운은 젊을 때 상업사주에 좋은 것이지 늙어서 오면 오히려 짐이 되고 건강에 좋지 못하고

너무 어릴 적에 온다면 학문에 방해가 된다고 해석합니다.

또 직장생활 이나 공직에 있는 사람에게는 재성 운이 온다면 인성을 극하여 돈으로 인한

망신을 당할 수가 있으니 좋지 못하며 장사하는 사람한테는 재성 운, 식상 운이 오면 좋겠습니다.

 

어느 길을 가느냐에 따라서도 어떤 운이 좋은가도 결정됩니다.

 

운에서의 육친적용법

 

* 대운의 육친 변용법

대운은 계절을 기준으로 보며 생활환경이나 주거지에 큰 변화가 생기고 주로 세월에 적응하여

산다는 것은 대운을 따른다는 뜻입니다.

육친에 적용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항상 간지론에 입각해서 어느 글자를 사용하느냐에 중점을 두고

감명을 해야 하고, 어느 위치에 어느 글자가 어느 육친에 해당하느냐를 따져보아서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하겠습니다.

 

비견 대운 - 인덕 부족, 보증 문제, 금전 소비, 지출.

겁재 대운 - 금전 희생, 경쟁과 경합, 재물 낭비.

식신 대운 - 금전 활동, 독립실현, 남= 조직이탈.

상관 대운 - 남= 직업 변동, 여= 남편 활동력 약화.

편재 대운 - 사업 번창, 학업 중단, 활동성, 남= 이성문제.

정재 대운 - 상가, 번화가, 사무실, 사회활동, 금전 발전.

편관 대운- 힘든 직업, 사고, 재물 손실, 질병, 조직생활.

정관 대운- 안정적 직업, 명예 발전, 취업, 승진, 명예.

편인 대운 - 제조생산 불가, 사업규모 축소, 문서 발전.

정인 대운 - 임대 사업, 사업규모 축소, 문서 발전.

 

* 세운의 육친 변용 법

큰 흐름으로서 발전이나 쇠락은 대운에서 결정지어지고 세운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작은 사건이나 일들을 가늠합니다.

 

비견 세운 - 동업 환경, 형제의 도움, 재물 손재.

겁재 세운 - 금전 소모, 관재 시비, 갈등, 경쟁.

식신 세운 - 투자, 이사, 사업 진출, 가족 증가, 자동차 교환.

상관 세운 - 남= 구설, 시비, 잡음. 여= 남편 문제.

편재 세운 - 재산 증식, 금전 유통, 활동 강화, 사업 확장.

정재 세운 - 저축, 고정 소득, 남= 결혼 운. 여= 금전 발전.

편관 세운 - 감투 발전, 사고, 병고, 실속 없는 일.

정관 세운 - 명예 발전, 직장 승진, 자녀 발전, 바쁜 일정.

편인 세운 - 문서 취득, 일의 지연, 사업 위축.

정인 세운 - 문서 발전, 상속 혜택, 임대 사업, 학문 발전.

 

지금까지 육친의 확장과 변용법에 대해서 함께 학습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은 지장간과 월령용사에 대한 학습을 준비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fe.daum.net/92301998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