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급7강. 격국용신론
안녕하세요~ 서연입니다.
오늘은 격국용신론(格局用神論)에 대해 같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1. 사주에 없거나 부족한 오행과 육친
2. 사주에 강한 오행과 육친
3. 근묘화실과 위치에 따른 육친 변용법
4. 육친의 확장과 변용법
5. 지장간과 월령용사
6. 12운성과 12신살
☞7. 격국용신론
8. 공망(空亡)
9. 사주팔자의 해석 순서
10. 사주 감명의 핵심
11. 당사주 보는 법
12. 래정법
제7강. 격국용신론(格局用神論)
거의 모든 역학인들이 선택에 여지가 없이 사용하는 격국 용신론을 우리 학회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격용론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격국(格局)이란 사주에서 가장 힘 있는 육친을 정하는 것인데 우리 감명 법에서도
사주에서 가장 강한 육친을 사용해서 살아가는 방법을 제시해야 하니까 사용을 하기는 합니다.
보통은 격국을 잡고 나서 용신을 정하는데 우리는 용신을 따로 정하지 않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 구분을 하자면 격국은 사용하고 용신은 사용을 하지 않는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격국과 용신은 서로 짝과 같아서 공식처럼 답을 얻는 방법인데 실제 감명에서는 적중률이 많이 떨어집니다.
맞지가 않느니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격국 용신론이 잘못된 학문이라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예전에 신분구별이 명확한 계급사회에서 명리는
지배층 인사들만 사용을 했으므로 당연히 정격에 속하는 분들이 많아서 잘 맞았을 것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계급이 무너지고 일반인 들이 명리학을 이용하다 보니
거의 모든 사람들의 사주가 파격사주에 가까운 것이 현실이니 거기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제는 파격사주를 감명 할 수있는 감명법이 필요해진 것입니다.
그 대안으로 간지론이 대두되었고 그것으로 감명하려면 물상론도 필요하고 12운성도 필요하고
근묘 화실도 필요해졌다는 것입니다.
먼저 격국(格局)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격국이란 사주팔자의 그릇 또는 이름이며 그 사람의 체질이고 사주팔자를 규정짓는 것이며
그것에 따라서 용신도 결정되며 격 국은 내격과 외격으로 분류되며
외격은 변격이라고도 부르며 전왕격, 종격, 화격 등으로 분류하고약 40여개의 특수격으로 분류합니다.
격국용신론은 정격사주에 잘 맞는 감명법입니다.
먼저 격을 정하는 방법을 보면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첫째, 월지가 子, 午, 卯, 酉는 지장간의 정기를 따라서 바로 입격이 된다고 봅니다.
물론 충이나 합, 형이 있을 때는 파격으로 분류합니다.
아무 간섭이 없어야만 입격이 된 것으로 봅니다.
둘째, 월지가 寅, 申, 巳, 亥일 때는 지장 간에 있는 정기, 중기, 여기 순으로
천간에 투간이 된 글자로 격을 정합니다. 물론 충이나 형 그리고 합이 있으면 파격이 됩니다.
세 번째 월지가 辰, 戌, 丑, 未일 때는 지장 간에 있는 여기, 중기, 정기 순으로
천간에 투간이 된 글자 중에 재성과 관성만 사용하고 잡기 재격 또는 잡기 관격으로 격을 잡습니다.
격을 잡는 이유는
사주팔자 중에서 가장 강한 육친이나 오행이 무엇인지를 분류하여
가장 강한 글자를 사용해서 살아가게 되니까 분류를 하는 것입니다.
우리 감명 법에서도 10정격 에 입격이 된 사주는 격이 높다고 보는데 그런 사주는 감명하기가 참 쉽습니다.
책에 나오는 대로 읽어줘도 다 맞습니다. 그러나 그런 사주가 별로 없다는 게 문제겠지요.
10정격론(十正格論)의 종류를 알아보면
1) 정관격(正官格)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하며 월지에 정관이 있는 것으로
격(格)중에서 가장 좋은 격으로 보며 상관이 없고 한 개의 정관만이 있는 것이 최상이라 하겠습니다.
예) 甲일간이 酉월을 만나는 것.
2) 편관격(偏官格)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에있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하며 월상 편관 격과 시상 편관 격이 있습니다.
예) 乙일간이 酉월을 만나는 것.
3) 정재격(正財格)
일간이 월지를 극하고 음양이 서로 다른 글자를 말하며 편재와 혼잡을 꺼리지 않습니다.
예) 丙일간이 酉월을 만나는 것.
4) 편재격(偏財格)
일간이 월지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하며 월상 편재격과 시상 편재격이 있습니다.
예) 辛일간이 卯월을 만나는 것
5) 정인격(正印格)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다른 글자를 말하며 인수격이 용신일 때 재성을 만나면
탐재괴인(貪財壞印)이라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만난다고 봅니다.
예) 甲일간이 子월을 만나는 것.
6) 편인격(偏印格)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하며
편인을 식신을 극하는 육친으로 많으면 의식주가 곤궁하다고 봅니다.
예) 乙일간이 子월을 만나는 것
7) 식신격(食神格)
일간이 월지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가 해당되며 정재나 편재가 있어야 길명이 됩니다.
예) 乙일간이 午월을 만나는 것
8) 상관격(傷官格)
일간이 월지를 생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가 해당되며 상관을 인성이 제압할 때 상관상진이라 하여 최고로 봅니다..
예) 甲일간이 午월을 만나는 것
9) 양인격(羊刃格)
일간과 월지의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글자가 해당되며 양 일간일 때만 사용합니다.
예) 甲일간이 卯월을 만나는 것
10) 건록격(建綠格)
일간과 월지가 같은 오행이고 음양이 같은 글자가 해당되며 조상의 은덕을 입기 어렵습니다.
예) 乙일간이 卯월을 만나는 것
격국은 10정격 만 사용을 하고 변격이나 화격, 특수격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대자연의 특성상 나를 버리고 종속된다는 이론은 맞지가 않다는 견해에서 그렇게 판단합니다.
다음은 용신론을 보겠습니다.
대부분 사주를 신약과 신강으로 구분하고 격을 정하고
억부 용신과 조후 용신을 적당하게 대입하여 사주를 감명하는데
문제는 잘 맞지가 않는다는 것입니다.
우리학파는 신약과 신강사주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신약은 일간의 오행이 너무 약한 것을 말합니다.
일간과 같은 오행인 비겁과 일간을 돕는 오행인 인성이 드물고
식상과 재성 그리고 관성이 너무 많은 경우를 말합니다.
신강은 일간의 오행이 너무 많은 경우를 말합니다.
일간과 같은 오행인 비겁과 일간을 돕는 오행인 인성이너무 많은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면 용신을 정해야겠지요.
신약사주는 일간을 도와야 하고 신강사주는 일간을 설기 시키거나 제극 하여야 합니다.
신약사주에 일간을 도와주는 방법으로
비겁이 용신이 되는 경우 -
사주에 재성이 많으면 재성이 인성을 극하므로
인성을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므로 비겁을 사용합니다.
인성이 용신이 되는 경우 -
사주에 관성이 많으면 관성이 비겁을 극하므로
비겁을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므로 인성을 사용합니다.
신강사주에 일간을 설기시키는 방법과 억제시키는 방법으로
식상이 용신이 되는 경우 -
사주에 비겁이 많은데 관으로 제어하면 일간을 극하므로
그것보다는 설기시키는 방법이 좋아서 식상이 사용됩니다.
관성이 용신이 되는 경우 -
사주에 인성이 많은데 식상으로 설기하려면 인성에 극을 받으므로
관성으로 제어하는 것이 좋아서 관성이 사용됩니다.
그래서 용신을 잡아 보면
* 조후 용신(계절)-
午, 未월 여름 생은 水가 용신 / 金이 희신
子, 丑월 겨울 생은 火가 용신 / 木이 희신
* 억부 용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함) -
신약하면 돕고=> 인/ 비
신강하면 억제=> 식/재/관
* 병약 용신- 병을 억제하는 오행을 약으로 사용.
예를 들어 토(土)일간이 토가 많아 병 이라면
그것을 제거해주는 목(木)이 약이 되는 것.
* 전왕 용신(종격)- 힘 있는 사주를 따라감.
* 통관 용신- 두 오행을 소통시켜주는 오행.
예를 들어 金기운과 木기운이 대립양상으로 구성하고 있다면 水가 있어 떨어뜨림.
이렇게 신약 신강을 구분하고 용신을 정해도 문제는 실제 감명에서는 잘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래서 요즈음 항간에서 용신 무용론이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격국 용신론을 공부한사람들 대부분은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은 용신 운이니 좋을 것이다” 아니면 “당신은 기신이나 흉신 운이니 나쁠 것이다”
단지 “좋다, 나쁘다 ”로만 말하고 나쁘니 어떻게 살라는 방법은 알려주지 않습니다.
우리는 용신이 무엇이냐를 찾기에 앞서서 사주팔자 주인이 그 사주를 가지고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가장 현명하게 사는 것인지 지금 어떤 대운이 지나가니까 어떤 형태로 살아야 하는지를 살펴 분석합니다.
그리고 무슨 격인지를 찾기에 앞서서 당신의 재성은 형을 당해 있으니 장사를 할 때
업종을 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갖는 것이 좋겠으니
먹는장사를 한다면 약이 되는 삼계탕, 사철탕 집이 잘 맞겠다고 해석을 하는 것입니다.
만약에 월지 재성이 충을 당해서 파격이 되었다면 재성이 점포인데 점포가 충을 당해서 움직이니까
역마성 장사를 해야 하니 바다의 어부가 그런 경우에 해당되겠고
자동차로 이동하며 물건을 파는 장사도 그런 경우겠습니다.
우리 감명법은 사주팔자에 육친이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지
강한 글자가 무엇인지 또 그 글자에 어느 육친이 합을 하는지
충을 하고 있는지, 형을 하고 있는지, 공망을 맞았는지를 잘 살피고
어느 대운을 지나니까 어느 육친을 사용하기 힘들겠다는 정도의 관찰이 필요 하다고 봅니다.
월인천강 新사주학에서는 22간지를 물상으로 확장하거나 육친으로 확장하는
많은 훈련이나 연습이 필요합니다.
각 글자의 운동성을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시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간지론의 성공여부는
기초에서 정해지니만큼 스스로 시간을 내서 열심히 연습을 필요로 하는것 같습니다.
기초에서 확실한 개념을 정립하고 내실을 다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격국용신론에 대한 정리를 마치고 다음시간에는 공망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명절보내시길 바랍니다.
남성분들은 명절 준비에 동참하시여 평화로운 나날이 지속되시길 바랍니다.
"여자는 남자하기 나름입니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