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1

고급11강. 지장간 응용

서 해(西海) 2020. 8. 21. 13:37

오늘은 지장간에 대해서 좀더 깊이 같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유익한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 목차 ―

1. 간지론 (干支論)

2. 성격 (性格)

3. 직업과 전공

4. 배우자와 자녀 인연법

5. 대운과 세운의 해석

6. 래정법과 운명 개선법

7. 격의 청탁과 부귀빈천

8. 쌍둥이 사주와 지리학

9. 삼합의 연구

10. 육친의 확장

11. 지장간 응용

12. 음양오행 건강법

제11강. 지장간 응용

정의

 

글자의 해석으로 본다면 지지 안에 숨어 있는 천간이 되지만 실제로는 천간이 감추어져 있거나 숨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지 자체가 여려 개의 천간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주 명조에 나와 있는 천간과 지지 이외에 지장간에 숨어 있는 글자들 또한 반드시 참작해서 보아야

하며 모든 인간사의 보이지 않는 부분이나 내면까지도 알아보는데 사용됩니다.

 

<지장간 도표>

 

 

 

 

 

 

 

 

 

+

-

+

-

+

-

+

-

+

-

+

-

+

-

+

+

-

-

+

-

+

+

-

-

 

계통별 분류

- 子, 午, 卯, 酉 : 사왕(四旺) 또는 (四正)이라고 하며 오행의 가장 순수한 기운을 의미하고

춘하추동의 핵심역할을 하는 달이 되어 각 계절의 중심 기운을 지니고 있습니다.

개성과 주관이 뚜렷하고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다른 오행의 기운으로 잘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 寅, 申, 巳, 亥 : 사생(四生) 또는 사맹(巳孟)이라고도 하고 모두 양간만 3개를 가지고 있으며

매사에 의욕이 강하고 기획이나 시작 등의 창의력이 좋고 설계 등에 소질이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辰, 戌, 丑, 未 : 잡기의 지지로서 사묘(四墓) 또는 사고(四庫)라고 하며

辰, 戌은 음간 2개와 양간 1개를 가지고 있고 丑, 未는 음간만 3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물의 저장과 보관을 주도하며 종합이나 포용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모든 것을 감추고 있다는 뜻이 있는 진술축미의 기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지지의 변화를 살필 때에 지장간을 충분히 이해하셔야 가능하겠습니다.

천간은 주연, 지지는 조연, 지장간은 엑스트라라고 이해하시면 되는데

천간은 지지에 기반을 두었을 때 사용이 가능하지만 지지는 무조건 사용이 됩니다.

지장간에 있는 육친도 있는 것으로 봐야하는데 그사용은 합이나 충에 의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역할을 합니다.

지장간에 있는 것도 때에 따라서 아주 크게 작용력을 가진답니다.

물론 없는 것보다는 지장간에라도 있는 것이 훨씬 좋겠지요.

모든 인간사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비밀을 알아보는데 유용하게 사용하므로 정확히 습득하여야합니다.

지장간을 계통별로 분류하여 더 상세히 파악해보겠습니다.

 

子 ㅡ 癸 (水)

午 ㅡ 己, 丁 火) * (火와 土는 동법)

卯 ㅡ 乙 (木)

酉 ㅡ 辛 (金)

 

子, 午, 卯, 酉 는 사왕 (四旺) 또는 사정(四正) 이라고 하며

오행의 가장 순수한 기운을 의미하고 춘하추동 각 계절의 중심기운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성과 주관이 뚜렷하고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다른 오행으로 변하지 않고

오히려 다른것을 변화시킵니다.

 

寅 ㅡ 戊, 丙, 甲 (木) 인데 午를 만나면 火로 바뀝니다.

申 ㅡ 戊, 壬, 庚 (金) 인데 子를 만나면 水로 바뀝니다.

巳 ㅡ 戊, 庚, 丙 (火) 인데 酉를 만나면 金으로 바뀝니다.

亥 ㅡ 甲, 壬 (水) 인데 卯를 만나면 木으로 바뀝니다.

 

寅, 申, 巳, 亥 는 사생 (四生) 또는 사맹 (四孟)이라고 하며 모두 양간만 3개 가지고 있으며 매사에

의욕이 강하고 시작, 기획 등의 창의력이 좋고 설계 등에 소질이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지지는 삼합과 육합에 의해서 오행의 성질이 변하는데 그 변화하는 성질을 지장간에 내포하고 있습니다.

* ( 寅, 申, 巳, 亥 는 두번 변합니다 )

 

辰, 戌, 丑, 未 는 잡기의 지지로서 사묘(四墓) 또는 사고(四庫) 라고 하며

辰, 戌은 음간 2개와 양간 1개를 가지고 있고 丑, 未는 음간만 3개 가지고 있습니다.

만물의 저장과 보관을 주도하며 종합이나 포용 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모든것을 감추고 있다는 뜻이 있는 진,술,축,미의 기운을 파악하는것이 어렵지만 연구를 많이 해야할 부분입니다.

* ( 辰, 戌, 丑, 未 는 세번 변합니다 )

1) 계절 :庫 地 작용. 2) 삼합 :入 墓 작용. 3) 다음글자 낳음 : 연결 작용.

 

辰 : ( 乙 癸 戊 )

↓ ↓ ↓

寅 卯 辰 (木) 申 子 辰 (水) 辰 (土)

 

戌 : ( 辛 丁 戊 )

↓ ↓ ↓

申 酉 戌 (金) 寅 午 戌( 戌 (土)

 

丑 : ( 癸 辛 己 )

↓ ↓ ↓

亥 子 丑 (水 ) 巳 酉 丑 (金 ) 丑 (土)

 

未 : ( 丁 乙 己 )

↓ ↓ ↓

巳 午 未 (火) 亥 卯 未 (木 ) 未 (土)

 

지장간은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약하게 존재하다가 때에 따라서 나타나서 작용하는 모양을

잘살펴야 제대로 된 팔자해석이 가능 합니다.

지장간을 잘 보고 해석을 해야 제대로 된 해석을 할 수 가 있다고 봅니다.

지장간 응용

12지지를 천간으로 변환하여 볼 때는, 10천간이 12지지로 분화 했던 방식의 반대로 적용하면 되는데,

子는 癸로, 丑은 己로, 寅은 甲으로, 卯는 乙로, 辰은 戊로, 巳는 丙으로, 午는 丁으로, 未는 己로,

申은 庚으로, 酉는 辛으로, 戌은 戊로, 亥는 壬으로 보면 됩니다.

모든 지지는 삼합과 방합 그리고 육합에 의해서 오행의 성질이 변하게 되는데

그 변화하는 성질을 지장간에 내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각 12지지의 오행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는지, 공통점을 지닌 계통별로 하나 하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寅, 申, 巳, 亥(生地)의 오행변화

*寅

寅은 원래 오행으로 木이지만, 지장간에 戊(土), 丙(火), 甲(木)을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火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寅은 午, 戌과 합하여 삼합이 되어 寅, 午, 戌 - 火국을 이루게 되는데,

그 이유는 寅의 자장간에 감추어져 있는 丙(火)의 작용에 의해 그렇게 된다는 것입니다.

*申

申은 원래 오행으로 金이지만, 지장간에 戊(土), 壬(水), 庚(金)을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水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申은 子, 辰을 만나면 삼합이 되어 申, 子, 辰 - 水국을 이루게 되는데, 그렇게 변하는 이유는

申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壬(水)이 작용을 하여 그렇게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巳

巳는 원래 오행으로 火이지만, 지장간에 戊(土), 庚(金), 丙(火)을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金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巳는 酉, 丑을 만나면 삼합이 되어 巳, 酉, 丑 - 金국을 이루게 되는데 그렇게 변하는 이유가

巳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庚(金)의 작용에 의해 그렇게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亥

亥는 원래 오행으로 水이지만, 지장간에 甲(木), 壬(水)를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木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亥는 卯, 未를 만나면 삼합이 되어 亥, 卯, 未 - 木국을 이루게 되는데 그렇게 변하는 이유가

亥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甲(木)이 작용을 하여 그렇게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辰, 戌, 丑, 未(四墓)의 오행변화

*辰

辰은 원래 오행이 土이지만, 지장간에 乙(木), 癸(水), 戊(土)를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水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辰은 申, 子를 만나면, 삼합이 되어 申, 子, 辰 - 水국을 이루는데, 그렇게 변하는 이유는

辰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癸(水)가 작용을 하여 그렇게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만약에 寅, 卯를 만나면 寅, 卯, 辰 - 木국으로 방합을 이루게 되고, 오행의 성질이 木으로 변하는데

그 이유는 辰의 지장간에 乙(木)이 작용을 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戌

戌은 원래 오행이 土이지만, 지장간에 辛(金), 丁(火), 戊(土)를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火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戌은 寅, 午를 만나면 삼합이 되어, 寅, 午, 戌 - 火국을 이루게 되는데,

그렇게 변하는 이유는 戌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丁(火)이 작용을 하여 그렇게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만약에 申, 酉를 만나면 申, 酉, 戌 - 金국으로 방합을 이루고 오행의 성질이 金으로 변하는데,

그 이유는 戌의 지장간에 있는 辛(金)이 작용을 한 것으로 봅니다.

*丑

丑은 원래 오행이 土이지만 지장간에 癸(水), 辛(金), 己(土)를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오행이 金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丑은 巳, 酉를 만나면 삼합이 되어 巳, 酉, 丑 - 金국을 이루게 되는데 그렇게 변하는 이유는

丑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辛(金)이 작용을 하여 그렇게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만약에 亥, 子를 만나면 亥, 子, 丑 - 水국으로 방합을 이루고 오행의 성질이 水로 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丑의 지장간에 있는 癸(水)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봅니다.

*未

未는 원래 오행이 土이지만 지장간에 丁(火), 乙(木), 己(土)를 가지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木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未는 亥, 卯를 만나면 삼합이 되어 亥, 卯, 未 - 木국을 이루게 되는데, 그렇게 변하는 이유는

未의 지장간에 감추어진 乙(木)이 작용을 하여 그렇게 변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만약에 巳, 午를 만나면 巳, 午, 未 - 火국으로 방합을 이루고 오행의 성질이 火로 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未의 지장간에 丁(火)이 작용을 한 것으로 봅니다.

*子, 午, 卯, 酉

子(癸), 午(己, 丁), 卯(乙), 酉(辛)는 四旺 또는 四正이라 하고, 오행의 가장 순수한 기운을 의미하고

춘, 하, 추, 동의 핵심역할을 하는 달이 되어 각 계절의 중심기운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성과 주관이 뚜렷하여 어떤 변화가 와도 다른 오행의 기운으로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四旺支는 각 지지가 품고 있는 천간이 하나씩인데, 午만 己와丁의 두 개를 품고 있는 것은

이미 배운바와 같이 오행의 12운성으로 보았을 때 火, 土는 같은 운동성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즉, 丙과 戊는 12운성으로 寅에 장생하고, 午에 제왕하며 戌에 입묘되는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午의 지장간에 己(土)를 하나 더 넣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辰, 戌, 丑, 未의 지장간 연구

위에서 진, 술, 축, 미의 지장간이 어떤 오행으로 변화를 하는지 살펴 보았는데,

지금부터는 진, 술, 축, 미의 지장간의 특성과 운에 따른 작용력 변화 등을 살펴 보겠습니다.

*辰, 戌, 丑, 未 지장간의 특징

辰(乙, 癸, 戊)

지장간 乙은 寅, 卯, 辰 - 방합으로 辰이 봄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癸는 다음 계절인 여름의 火를 만나면 水가 상하므로 辰에 숨는다는 것입니다.

戌(辛, 丁, 戊)

지장간 辛은 申, 酉, 戌 - 방합으로 戌이 가을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丁은 다음 계절인 겨울의 水를 만나면 火가 상하므로 戌에 숨는 것입니다.

丑(癸, 辛, 己)

지장간 癸는 亥, 子, 丑 - 방합으로 丑이 겨울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辛은 다음 계절인 봄의 木을 만나면 金이 상하므로 丑에 숨는 것입니다.

未(丁, 乙, 己)

지장간 丁은 巳, 午, 未 - 방합으로 未가 여름에 속하는 이유이고,

지장간 乙은 다음 계절인 가을의 金을 만나면 木이 상하므로 未에 숨는 것입니다.

*운에 따른 辰, 戌, 丑, 未의 작용력 변화

대운과 세운에 따라서 진, 술, 축, 미가 어떤 작용력 변화를 갖게 되는지 살펴 보겠는데,

운에 따라서 삼합과 방합 그리고 입묘작용에 의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각각 품고 있는 지장간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자세히 관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辰(乙, 癸, 戊)의 작용력 변화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土 작용) (水 작용) (木 작용)

(해석)

巳, 午, 未운을 만나면 辰이 水를 입묘시켜서 지장간에 저장하고 있는 癸(水)를 보호하기 위해서

土작용처럼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申, 酉, 戌 亥, 子, 丑운에는 申이나 子와 합하여 申, 子, 辰 - 水국으로 삼합작용에 의한

水작용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寅, 卯, 辰운에는 寅이나 卯와 합하여 木국으로 방합에 의한 木작용을 하게 됩니다.

*戌(辛, 丁, 戊)의 작용력 변화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土 작용) (火 작용) (金 작용)

(해석)

亥, 子, 丑운을 만나면 戌이 火를 입묘 시켜서 지장간에 저장하고 있는 丁(火)를 보호하기 위해서

土작용처럼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寅, 卯, 辰 巳, 午, 未운에는

寅이나 午와 합하여 寅, 午, 戌 - 火국으로 삼합작용에 의한 火작용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申,酉,戌운을 만나면 戌이 申이나 酉와 합하여 申,酉,戌 -金국으로 방합에 의한 金작용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丑(癸, 辛, 己)의 작용력 변화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土 작용) (金 작용) (水 작용)

(해석)

寅, 卯, 辰운을 만나면 丑이 金을 입묘시켜서 지장간에 저장하고 있는 辛(金)을 보호하기 위해서

土작용처럼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巳, 午, 未 申, 酉, 戌운을 만나면 巳와 酉와 합하여 巳, 酉, 丑 - 金국으로 삼합작용에 의한

金작용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亥, 子, 丑운을 만나면

亥나 子와 합하여 亥, 子, 丑 - 水국으로 방합에 의한 水작용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未(丁, 乙, 己)의 작용력 변화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土 작용) (木 작용) (火 작용)

(해석)

申, 酉, 戌운을 만나면 未가 木을 입묘시켜서 지장간에 저장하고 있는 乙(木)을 보호하기 위하여

土작용처럼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亥,子,丑 寅,卯.辰운을 만나면 亥나 卯와 합하여 亥,卯,未-木국으로 삼합작용에 의한 木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巳,午,未운에는 巳와 午와 합하여 巳,午,未-火국으로 방합에 의한 火작용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지장간에 대해 공부해 보았는데, 지장간을 잘 살펴서

숨어있는 명운까지도 잘 찾아서 감명해 줄 때라야 비로소 훌륭한 감명법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지장간 응용편을 주제로 함께 공부해 보았습니다.

다음시간은 고급편 12강 중에 마지막 강의로 음양오행 건강법에 대해서 함께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fe.daum.net/92301998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