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강. 12운성
이번 시간은 12운성(十二運星) 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이전의 강의 내용은 양과 음에서 출발하여 다섯가지 오행으로 이어져서
그다음에 천간 과 지지의 상호 관계를 배웠습니다
천간끼리 지지끼리 합과 충을 비롯하여 말입니다
하지만 공망 강의부터는 천간과 지지의 상호 결합 관계였습니다
역시 동일선상으로 12운성(十二運星)도 마찬가지 입니다
천간과 지지의 상대적 관계를 살피는 부분입니다
12운성 일명 포태법을 다수의 역술인들은 배제를 시키는 경향이 많습니다만
신사주학에서는 중요한 감명법이므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격국 용신론을 추구하시는 분들은 용신 희신을 찾아서 오행적으로 상생상극을
구분하여 해석하기 때문에 굳이 12운성을 채용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12운성이란 타고난 사주를 기준으로 시간적, 계절적, 세월의 흐름에 따라서
다변하게 나타나는 흥망성쇠 생로병사 강과약을 살피는 부분입니다
충분히 이해를 하시고 넘어가야 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늘의 뜻인 천간이 뿌리를 내렸는지 아닌지는 어떻게 볼까요
땅에 있는 지지를 살피고 또한 지지 밑에 숨어있는 지장간도 살펴 봅니다
뿌리가 있다 없다 유무를 보는 것이죠
하지만 그 뿌리가 강한지 약한지 어떠한 기운으로 흘러 갈런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12운성이 꼭 필요하다 이겁니다
12운성 조견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生 ( 생 ): 모태에서 성장한 태아가 출생함을 뜻한다.
浴 ( 욕 ): 출생한 아기가 목욕하며, 물장난 하는 것과 같다.
帶 ( 대 ): 성장하여, 관을 쓰고, 허리에 띠를 매는 시기이다.
官 ( 관 ): 벼슬에 올라 국가와 사회에 참여하는 시기이다.
旺 ( 왕 ): 일생 최고의 왕성한 활동을 할수 있는 시기를 말한다.
衰 ( 쇠 ): 왕한 때는 지나고 노쇠해도, 추종하는 자는 아직 있다.
病 ( 병 ): 노쇠하여 생기가 파괴되니 병이 드는 것을 말한다.
死 ( 사 ): 병이 들어 움직임이 없거나 생명이 끊어진 상태이다.
墓 ( 묘 ): 인간이 죽은 후에 무덤으로 들어가 있는 시기이다.
節 ( 절 ): 무덤에 묻힌후 모든 것이 단절된 상태이다.
胎 ( 태 ): 자궁속에 태아가 입태함을 나타낸다.
養 ( 양 ): 생명이 모태에서 성장하여 자라서 탄생을 준비한다.
보시는거와 같이 인생살이가 이렇게 태어나서 땅에 묻히는것이
당연한 자연의 이치이자 불변의 진리가 아닐까 싶네요
가만히 보고 있으면 너무나 당연한 진리인데도 한편으론 허무함을 느낍니다
그 누구도 세월이 이렇듯 무심히 흘러 가는 자연의 섭리를 거슬릴 수는 없겠지요
저 역시 늙지 않고 영원히 살것 처럼 헛되게 하루하루 보내는 날이 많습니다
아~ 삼천포로 빠지네요..
12운성 활용은 차후에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본인 자리 일간이 어떤 자리 위에 앉아 있나를 살펴 볼까요
제가 경술(庚戌)일 생입니다 천간 庚에 戌 자리를 찾으니 쇠(衰) 자리입니다
나약해지는 쇠 자리이지만 왕지 다음이라 그나마 위로 삼습니다
그러나 왜 왕(旺) 자리인 酉 자리에 못 앉았나 하고 원망도 해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庚酉는 육십갑자에 없습니다
그래서 육십갑자를 다시 좀 더 살펴 보았습니다
庚寅 은 절(絶)이고 , 庚子 는 사(死)이고, 庚辰 은 양(養)이네요
별로 썩 내키는 자리가 아닌듯 합니다
庚午 나 庚申 이 그나마 좋아 보이는데 경신이면 안방이 불안해서 이해되고
경오가 참말로 아쉽네요 하지만 다 타고난 사주팔자 이유가 있겠지요
이렇게 간단하게 재미삼아 살펴 보시는것도 공부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12운성은 일간 기준으로 흥망성쇠를 찾기보다는
흘러가는 세월에서 타고난 재물운이나 직장운 그리고 가족관계 등을
살피고 판단함에 있어 더욱 중요한 감명법이라고 하겠습니다
다음은 사주분석의 꽃이라고 하는 육친(六親)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