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해(西海) 2020. 7. 31. 17:15

 

이번 시간은 육친(六親)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육친(六親) 또는 육신(六神) 또는 십신(十神), 십성(十星) 이라고도 칭합니다

명칭에 너무 메이지 않으셔도 됩니다

나를 포함해서 다섯 종류의 기운을 가진 녀석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며

또는 다섯 종류의 기운이 음양으로 분류가 되니 열 종류가 됩니다

그래서 십신으로도 불립니다

 

간단히 분류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甲木을 기준으로 본다면

 

비견 比肩 - 일간과 동일한 오행이고, 음양도 같은 것. (. )

겁재 劫財 - 일간과 동일한 오행이나, 음양은 다른 것. (. )

식신 食神 - 일간이 생하는 오행이고, 음양도 같은 것. (, )

상관 傷官 - 일간이 생하는 오행이나, 음양은 다른 것. (, )

편재 偏財 - 일간이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도 같은 것. (, .)

정재 正財 - 일간이 극하는 오행이나, 음양은 다른 것. (, .)

편관 偏官 -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도 같은 것. (, )

정관 正官 -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은 다른 것. (, )

편인 偏印 -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고, 음양도 같은 것. (, )

정인 正印 -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고, 음양은 다른 것. (, )

 

 

 

위와같이 상생상극 관계도가 그려지는데 어렵게 생각마시고 오행의 상생상극과

같은 개념으로 암기 해두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육친론은 사회적 활동, 가족과 친척 관계, 직업분석, 성격분석, 사물 학문 건강 분야로

사주해석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낼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며 대단히 광범위한 분야입니다

처음부터 복잡하다고 고민하고 걱정마시고 천천히 몇 번 해보시면 한두달안에

사주를 펼치고 10초 정도면 육친으로 표기 할 수 있을겁니다

육친을 활용한 여러 가지 도표는 입문편 교재에 상세하게 잘 정리되어 있으니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족관계 도표를 보시면 남자는 정재가 부인이니 본인의 일간 밑에 있는 일지는

정재를 차고 있는게 안성맞춤이겠지요 반대로 여자는 정관이 남편이니 정관이 좋습니다

만약에 남자 일간이 乙이고 일지가 亥이면 정인이 됩니다

어떨까요? 안방에 어머니가 앉았으니 배우자와 애정은 좀 덜하고 부인이 효심 지극한

여자가 아닌 이상에는 고부갈등도 있겠고 남자는 맘속에 늘 부모님 생각하니

효자일수 있겠지요 또 남자가 부인에게 마음적으로 의존 한다고 볼수 있죠

또 뒤에 여러 도표를 참조하여 보면

(亥水) 정인은 학문성이니 선비타입이고 집에서도 책을 잘보고

책도 예능분야보다는 정통 학문쪽이고 예의바르고 보수적이고 차분한편이지요

관성이 공망이니 직장운이 약하고 남자는 자식덕도 약하다 하겠습니다

일지 하나만 가지고 육친론을 대입하여 이렇듯 다양한 해석이 나오게 됩니다

물론 천간지지의 합충형과 12운성은 제외하고 말입니다

 

하지만, 육친론의 오류에 빠지면 안된다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눈치 빠르시면 아시겠습니다만 乙亥 일주와 己巳 일주는 같은 정인을 차고 있지만

사주해석을 하자면 분명히 다른 해석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간지(干支)학파이니까 천간지지 고유의 개별적인 분석이 되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친론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지금은 육친의 해석 도표를 참조하여 이렇게 저렇게 연구하고 고민하면서

육친론에 푹 빠져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다음시간에 육친론을 한번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fe.daum.net/92301998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