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2

제5강. 간지론의 이해

서 해(西海) 2020. 7. 31. 17:22

 

5. 간지론(2)의 이해

 

3. 10天干의 이해

 

天干은 하늘에서 흐르는 하늘의 기운으로 맑고 깨끗한 하늘의 운기로 양에 속하고

地支는 사계절이 순행하는 순서로 음에 속하여 이땅에 모든 물질을 포함한다.

천간과 지지는 서로 의지하며 연결되어 운행하고 있다는 것으로 설정은 12운성으로 잘 나타내고 있으며

천간은 에 의해 움직이고 지지는 육합, 방합, 삼합 (, , )에 의하고

천간은 지지를 극하거나 생하지 않으며 지지도 천간을 극하거나 생하지 않고 오직12운성으로만 해석한다.

지지의 기운이 천간에 투출이 되었는지를 볼수 있고 천간의 기운이 지지에 뿌리를 두었는지 볼수 있으며

그 외에 천간과 지지는 연관이 없다.

음양과 오행, 천간과 지지에 대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22간지로서실제 감명할 때 사용하는 글자이다

따라서 음양오행의 법칙, 10천간, 12지지를 벗어날 수 없는 것으로 22간지론이라 말하며, 이번시간엔

10천간을 다음시간엔 12지지를 나뉘어 공부하도록 한다.

 

.

팔괘로서 의미

으로 벼락 진, 천둥, 떨다, 놀라다, 두려워하다, 벼락 치다, 움직이다, 성내다, 지진, 권위를 떨치다.

글자로서 의미

거북 갑자로 단단한 거북의 등껍질처럼 자기만의 세상에 빠져서 살아가니 고집이 세고 혼자서 연구하는

것을 좋아한다.

글 솜씨가 좋고 기억력이 뛰어나고 직관력, 예지력, 영감이 좋다. 히스테리, 불평불만, 신경질이 많은

경우도 있으며 시작과 개척, 기획과 성장하는 운동성을 가진다.

여자의 경우는 부부 인연이 좋지 못하다.

특징

은 하늘로 치솟는 성질을 가지며 가 있으면 목화통명(木火通明)’이라 좋다.

봄에는 을 꺼리고 가을에는 를 꺼리며 화가 많으면 를 필요로 하고 수가 많 으면 을 필요로 한다.

성정

성질이 곧고 강하며 진취적인 성향이고 리더쉽과 책임감이 강하다.

단 남에게 구속이나 간섭은 싫어한다.

여자는 활동력과 생활력이 강하여 가권을 쥐고 책임은 가진다.

물상

건축, 가구, 원예, 법률, 총무, 사회사업, 산림, 조경, 가로수, 고층건물등이다.

 

.

팔괘로서 의미

으로 손괘, 동남쪽, 유순하다, 유연하다, 공손하다

에 속하고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을 보고 바람을 볼 수 있다고 하여 을 바람이라고 한다.

글자로서 의미

새 을자로 공상과 아이디어가 풍부하다.

봄에 새싹이 꾸물꾸물 자라는 형상이나 날아가는 새를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다.

특징

을 제어할 수 있고 가 있으면 금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 함께 있으면 걱정이 없다.

성정

말로 먹고 사는 달변가가 많고 꾸미고 장식에 종사하는 자가 많으며

포기하지 않는 끈기는 강하고 어울리는 인화에도 잘하나 부드럽고 유약하게 보인다.

물상

교육, 서적, 사무용품, , 과일, 채소, 종이, 유실수, 곡식, 묘목, 장식등이다

 

.

팔괘로서 의미

로 떼어놓을 리, 가르다, 끊다, 나누다, 열다, 헤어지다, 물러나다, 떠나가다, 배반, 붙다, 부착

태양의 정기로서 지상의 만물이 태양을 떠나서 생존할 수 없다.

글자로서 의미

글자 모양이 포크처럼 생겨서 먹는 것을 즐기는 식도락가가 많다.

가마솥을 엎어 놓은 것 같은 글자 모양으로 뜨겁다는 뜻이 있고 재능과 재주가 많아 예능이나 예술,

문학에 조예가 깊다.

특징

은 세력이 치열하여 을 능히 제압하나 을 만나면 누그러지고 토를 만나면 자비로워진다.

지지에 寅午戌 火국이 있는데 을 만나면 분멸 당한다.

성정

밝고 쾌활하며 정열적이고 급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언변 좋고 예절이 바르며 바른말로 말하나

비밀이 안되며 말이 많고 잘난척을 많이 한다.

女子는 활동적이고 대인관계 좋고 집안살림 안하고 남편무시하고 가장노릇을 하게 된다.

물상

예술, 언론, 조명, 스포츠, 연예, 교육, 음악, 석유, 가스, 안경, 광학, 전기, 네온사인, 사진. 간판등이다.

 

.

팔괘로서 의미

음화로 태양이 지고 난 후에 생하므로 밤하늘에 별이라고 하였다.

등촉화라고 하여 어두울 때 빛을 내는 등잔불이나 촛불에 비유하기도 한다.

글자로서 의미

못 박을 때 나는 소리를 본뜬 글자이며 은 못을 뜻하고 한 곳에 머무는 일로 머무르다뜻을 가지고 있다.

고무래 정으로 갈고리 같아서 뭐든지 모으기를 좋아한다.

특징

은 부드럽고 중용을 지키니 강하여도 치열하지는 않고 만 있으면 가을도 겨울도 좋다.

성정

고지식하며 잔괴를 잘 부리지 않고 상,하 구별 잘하며 自尊心, 執念, 精神力강하다

男女공히 약한 것처럼 보이나 강하고 강한 것처럼 보이나 약하고 하는 양면성이 있다

물상

악기, 소리, 음향, 영화, 미술, 서예, 학술, 예술, 오락, 방송, 통신등이다

 

 

.

팔괘로서 의미

으로 어긋날 간, 거스르다, 그치다, 어려워하다,

태양이 지면 토가 되니 저녁노을이라고 한다.

글자로서 의미

의식용이나 형벌 집행용 도끼 또는 무릅쓰다는 뜻을 내포하며 모험심이 있고 적극적인 행동가로

의지가 강건하다. 성공에 대한 욕망이나 야망이 많고 성공 확률도 높다.

 양기의 극단으로 밀어 붙이는 기운이 매우 강하다.

특징

는 견고하고 중용을 지키는데 화가 강하면 수기로 조절이 필요하고 수가 강하면 화로서 조절해야한다.

환절기에 토가 강하면 금기로 누출시킴을 필요로 한다.

성정

견고하고 중용을 지키며 모험심이 있고 적극적이며 강건하고 의리와 의협심이 강하여 정의로운 주관과

개성이 뚜렷하여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는 능력이 있다.

물상

토목, 부동산, 농업, 창고, 은행, 증권, 금융, 언덕, 빌딩, 성곽, 대지

 

 

.

팔괘로서 의미

으로 땅, 대지 하늘에서는 구름이라고 한다.

글자로서 의미

자기’, ‘’, ‘또렷하다’, ‘들러붙다등의 뜻으로 변화가 많고 영리하며 적응력이 뛰어나며 남녀가

모두 호색하여 배우자와 이별이나 이혼이 있을수 있다.

특징

는 습하고 안으로 축장하기 때문에 이나 를 두려워하지 않고 가 적으면 빛을 가리고 화의

도움을 받으면 제습하여 만사가 여유롭다.

성정

순박하고 부드로우며 자애로움과 포용력이 있어 모두가 좋아하며 섬세하고 깔끔하며 단단하면서도

날카로움도 있으나 변화가 많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남녀모두 이성을 밝히게 되니 부부의 인연이 약하다.

물상

세무, 경리, 사무, 법률, 중계, 기와, 벽돌, 공예, 전원, 화원, 평야, 잔디밭,

 

 

.

팔괘로서 의미

으로 하늘 건, 임금, 하늘에서는 달에 비유한다.

글자로서 의미

종을 매달아 놓은 것을 본뜬 글자로 종처럼 소리만 요란하고 실속 없는 사람이 많아 승려, 무속인,

법사가 되는 사람도 있다.

특징

은 강건함이 가장 앞서고 수를 득하면 청하고 화를 득하면 예리해지고 건조한 토를 만나면 취약해지고

을 보면 극하지만 과는 합을 한다.

성정

강건하고 의리를 잘 지키며 평생 배반하지 않으며 희생정신이 있어 주위로부터 칭찬을 얻으며 용감하고

희생정신이 투철하여 지도력과 통솔력이 뛰어나다.

단 조급하고 난폭하고 독선적이고 명예욕이 있으며 욕심이 있어 구설수를 조심해야 한다.

물상

군인, 경찰, 검찰, 경비, 보안, 기계, 금속, 스포츠, 경비, 금고, 은행, 철강, 자동차,기계

 

 

.

팔괘로서 의미

빛날 태, 기름지다, 서쪽, 지름길, 기뻐하다, 바꾸다, 하늘에서 서리에 비유한다.

글자로서 의미

매울 이라는 글자로 암살용 칼로도 쓰고 흑백논리가 분명하고 순진하고 외골수라서 교제 폭이 좁다.

 ‘다행할 행자로도 쓰여서 돈 버는 재주도 가지고 있다.

특징

은 연약하여 가 많음을 무서워하고 가 많음을 좋아하며 가 많으면 를 반기고 가 많으면 을 반긴다.

성정

섬세하고 깔끔하며 약해 보이나 단단하고 야무지고 날카로움도 있으며 에 비하면 부드러우나

더 과감하고 예리함이 있다.

자존심이 강하고 욕심도 많아 자기가 최고라는 생각에 주위로부터 비난 받기도 하고 기획, 계산능력이

뛰어나나 냉정과 까다로운 면도 있다.

물상

보석(, , 다이야몬드), 제련된금속, 비철금속, 귀금속, 보석, 장신구, 도금, 용접, 계산, 정밀기계, 반도체,

 

 

.

팔괘로서 의미

으로 구덩이 감, 험하다, 험난하고 하늘에서는 이슬이라고 한다.

글자로서 의미

실을 감아 놓은 실패를 본떠서 만든 글자로 음탕하고 색욕이 강하여 가정에 문제가 발생하나 문학적

재주가 비상하여 소설가나 문학가로서 이름을 떨치며 재미있고 재주가 넘쳐 매력 있는 사람이 많다.

특징

壬은 금기를 설기시키고 수기가 강하면 목으로 설기하여야 하고 정이 있으면 합하여 목이 되니 기쁘다.

성정

두뇌가 總名하고 창의력이 있으며 선견지명은 다른 사람의 추종을 불허하며 제주가 비상하여 인기가

많고 특히 예술인이 많다.

마음이 넓고 깨끗하여 어디든지 잘 어울리나 속마음을 알 수 없는 음탕하고 색욕이 강하여 음흉하거나

비밀이 많다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여자는 개방적이고 머리회전 빨라 남성 유혹 많고 음란이 많다

물상

임은 만물의 근원이며 생명이고 모든 것이 물에서 시작함.

광고, 선전, 연구, 정보, 흥신소, 탐정, 상표, 특허

 

 

.

팔괘로서 의미

하늘에서는 봄비에 비유한다.

글자로서 의미

빙글빙글 돌린다는 핵심적인 뜻으로 돈, 권력, 사랑 등을 돌아다니는 정치꾼이나 도박꾼이 많고

두뇌가 명석하고 재치가 넘치지만 스스로 너무 자만하고 과신하는 경우도 많다.

특징

는 매우 약하고 유순하며 를 윤택하게 하고 금을 빛나게 하며 지지에 을 반기나

설기시킬 수 없다.

성정

두뇌가 명석하고 재치가 많지만 스스로 자만하고 과신하기도하고 智謀가 좋고 변화에도 대응능력이

좋으나 줏대가 없어 보이고 자기꾀에 자신이 당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참모나 보좌 역활이 좋고 말은 잘하나 도움되지 않는 점이 있다.

자유자재로 변신하고 적응 할 수 있는 능력, 환경의 변화 조정도 뛰어나나 이중 성격처럼 보일수가

있어 비밀을 감추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물상

모든 생물이 필요한 수로서, 유통, 서비스, 백화점, 마트, 여행, 요리, 음료, 세탁, 종자, 씨앗, 시장등이다.

  

** 다음시간은 간지론(3)에 대한 내용이 이어지겠습니다

 

 

cafe.daum.net/92301998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