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과 부귀빈천
오늘은 사주구성이 淸하고 濁한 구성과 ,富하고 貴한구성그리고貧하고 賤한 구성을
공부하겠습니다.
1. 격이 청한 사주.
1). 관성, 인성이 소통하여 드러나고 힘이 있다.
2). 식상이 재성을 돕고 드러나서 힘이 있다.
3). 식상이 재성과 멀지 않고 관인이 멀지 않다.
4). 모든 글자가 상생으로 연결되어 한 글자를 돕고 있다.
5). 년, 월, 일, 시에 있어야 좋을 글자들이 그 자리에 있다.
6). 각 육친들이 몰려 있어도 다른 글자들이 강한 글자를 깨는 글자가 없다.
7). 재성과 관성의 뿌리가 튼튼하고 극하는 글자가 없다.
2. 격이 탁한 사주.
1). 식상, 재성, 관성이 공망 되어 있다.
2). 좋은 글자들이 합되어 역할을 상실하였다.
3). 재, 관이나 강한 글자들이 충, 형을 당했다.
4). 관성이 많거나 뿌리가 없다.
5). 재성이 노출되고 비겁에 분탈 당해 있다.
6). 식상과 재성이 떨어져 있거나 드러나지 못하였다.
7). 관인이 소통되지 못하거나 떨어져 있다.
8). 사주가 지나치게 덥거나 차가와도 조후를 잃어 탁하다.
9). 형이 되어 있어도 탁하지만 그 속성을 취하여 사용합니다.
3. 부(富)자 팔자.
1). 고서에 이르기를 ‘하지기인부(何知其人富) 재기통문호(財氣通門戶)
라 하여 집안에 재기가 통한 사람은 부자라는 뜻이다.
2). 식신 또는 상관이 재성을 도와 재기유통하면 부자의 사주다.
3). 신왕재왕 하거나 재성이 충, 형을 당하지 않고 힘이 있으면 부자가 된다.
4). 재성이 강하며 관성을 돕고 관성이 재성을 보호하며 신약하지 않으면
부와 귀가 모두 갖추어진 팔자가 된다.
5). 식상과 재성의 있고 없고 그리고 강약과 합, 충, 형을 참작하여 판단한다.
예). 남자 - 부자 팔자
시 일 월 년
甲 丙 戊 己
午 申 辰 巳
(풀이) 丙화 일간이 辰월에 태어나고 年에 비견을 時에 양인을 만나서 신약하지
않고 식신격으로 성격되었다.
식신과 편재가 가까이서 합하고 있으니 부자의 운명이다.
4. 貴한 팔자.
1). 관성이 강하고 신왕하며 인성이 소통되어 있으면 귀한 명이다.
2). 재성이 강한데 관성이 소통시키면 관성이 힘을 얻어서 귀한 명이 된다.
3). 재성,관성, 인성이 三奇로 구비되면 최고의 부귀 명이 된다.
4). 사주에 관성이 보이지 않으면 지장간에 암장된 관성으로 귀한 명이 된다.
5). 관성과 인성의 조화를 살펴서 판단한다.
예). 남자 - 귀할 팔자
시 일 월 년
甲 乙 甲 戊
申 亥 子 寅
(풀이) 비겁이 많아 재성을 두고 다투니 금전 복은 없으나 시에 관성이
일지에 소통되니 귀한 명은 된다.
5. 빈(貧)할 팔자.
1). 재성이 있어도 충이나 공망되고 신약하면 재성을 능히 감당치 못하여
가난하게 된다.
2). 신약하고 식상이 많아서 인성이 무력하면 가난한 명이 된다.
3).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많으며 식상이 없으면 가난한 펄자다.
4). 식상과 재성이 떨어져 있거나 신약하여 있어도 가난하게 된다고 판단한다.
5). 식상과 재성을 관찰하고 일간의 신약, 신강을 구분하여 판단한다.
예). 남녀 불명 - 가난할 팔자
시 일 월 년
癸 癸 丙 丙
丑 丑 申 戌
(풀이) 년, 월에 정재가 있어서 재력 있는 가정에 태어났으나 년에
戌토가 재성의 입묘작용으로 불리하고 先富, 後貧격으로
가난하여 중년에 굶어 죽었다.
6. 천(賤)할 팔자
1). 신왕하고 관성이 약하며 인성이 강하면 천한 운명이 된다.
2). 관살 혼잡하고 신약하면 천한 운명이 된다.
3).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많으며 관성의 구함이 없으면 천하게 된다.
4). 비겁이 재성을 겁탈하고 충하거나 양인이 겹치면 천하다.
5). 관성이 많은데 인성의 소통이 없으면 일은 많고 보상은 적다.
6). 식상이 많아서 관성을 용납지 않으면 천하다.
* [월인천강 新사주학]과 상이된 부분이 있으나, 고서에 기록된 부분을 사주감명시
참고하시기 바라면서 올립니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월인천강[강의록] > 간지론 강의록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강. 격국 용신론-2 (0) | 2020.07.31 |
---|---|
제1강. 직업과 전공 (0) | 2020.07.31 |
제3강. 배우자와 자녀인연법 (0) | 2020.07.31 |
제4강. 대운과 세운의 해석 (0) | 2020.07.31 |
제5강. 사주팔자 해석의 우선순위 (0) | 2020.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