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 사주카페컨설팅

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1

기초7강. 충, 형

서 해(西海) 2020. 8. 19. 13:35

오늘 하루는 어떠셨나요? 멋진 날 보내셨나요?

하루하루를 의미있고 가치있게 쓴다는 건 생각이나 말은 참 쉬어도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타성에 젖어 버리는 것들이 참 많습니다.

경계한다고는 하지만 매번 부딪혀 버리니...

돌이키고, 또 안되면 돌이키고, 돌이킴의 연속이라 부끄럽기만 합니다.

나는 이렇구나, 알아차리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마음을 내어 봅니다.

이번시간에는 충(沖)과 형(刑)에 대해서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와 해는 영향력이 약하며 중복 등으로 겹쳐서 저희 학회에서는 잘 다루지 않습니다.

그래서 강의록에서는 파와 해는 배제하고 진행하도록 할께요.

― 목차 ―

1. 음양(陰陽)

2. 오행(五行)

3.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4. 천간(天干)의 이해

5. 지지(地支)의 이해

6. 합(合)

7. 충(沖), 형(刑)

8. 지장간

9. 육친(1)

10. 육친(2)

11. 12운성과 12신살, 공망

12. 사주정립법

제 7강. 충(沖),형(刑)

충(沖)

충에는 천간충과 지지충이 있으며, 먼저 천간충을 살펴보겠습니다.

(1) 천간충

천간의 충은 방위나 운동성이 반대되는 천간끼리 충돌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東과 西, 南과 北이 木과 金, 火와 水의 서로 대립하는 오행끼리 부딪쳐서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을 말합니다.

천간은 合을 꺼리나, 沖은 서로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경쟁, 투쟁, 충전작용과 같은 정신적 자극을 주어

활발하게 움직이는 작용을 만드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므로 천간은 충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 천간충

동방( 甲, 乙) ↔ 서방( 庚, 辛) 甲 庚 沖, 乙 辛 沖

남방( 丙, 丁) ↔ 북방( 壬, 癸) 丙 壬 沖, 丁 癸 沖 의 4가지의 충이 존재 합니다.

(2) 지지충

지지충은 양과 양이 만나서 충하고, 음과 음이 만나서 충을 하는 것인데, 한 공간에 양립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하며,

충을 역마작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지충은 각 지지에서부터 7번째가 되는 지지를 충하는 방식으로 子에서 7번째가 되는 午와 충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卯와 酉, 寅과 申, 巳와 亥, 辰과 戌, 丑과 未가 충을 하는 것이며 각각 방위나 기운이 반대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즉 子午충, 卯酉충, 寅申충, 巳亥충, 辰戌충, 丑未충의 6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자오, 사해는 水가 火를 극하는 충이고, 인신, 묘유는 金이 木을 극하는 극충인데 辰戌충과 丑未충은 같은 오행인

土끼리 충하므로 이를 朋沖이라고 합니다.

충은 비어있는 것을 채우고, 채워있는 것을 비운다고 하고, 가만히 있는 것을 움직이게 하고,

모여 있는 것을 해산이나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며, 역마작용으로 해석합니다.

1) 子午충

심성은 착하지만 소심한 면이 있고, 모든 일에 신중하지 못하여 쉽게 결정하고, 번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은, 子는 신장, 午는 심장을 말하므로 충이 되면 정신이나 신경계통의 질병을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사주에 년월에 자오충이 있으면, 본인이나 형제중에서 해외에 나가 사는 경우가 많고, 운에서 충이 오면

본인이나 자녀가 해외에 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2) 卯酉충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 타인과의 충돌이 많고, 이익을 위해서 배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거지 변동이 남달리 많고, 건강은 간, 담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주명조에 일지와시지에 묘유충이 있으면 말년에 거주할 집이 없다고 합니다.

3) 寅申충

매사에 서두르며 시작만 있고 끝이 흐린 경우가 많습니다.

역마성 글자의 충으로 분주하고 이동하는 일이 많거나, 직장을 옮기거나 이별 또는 이사를 자주 갈 수도 있습니다.

인신충이 오면, 장남이라도 타향에서 자수성가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건강은 간, 담질환을 주의 해야 합니다.

4) 巳亥충

소심한 성격이 많고, 남의 일에 간섭하기를 좋아해 구설이나 논쟁에 휘말려 들기 쉽습니다.

긁어 부스럼이라고, 괜히 일을 만들어 걱정이나 후회를 많이 합니다.

사해충이 있으면 폭발이나, 화재, 교통사고에 주의해야 하며, 신장, 혈압, 당뇨 등의 질환에 주의해야 합니다.

5) 辰戌충

강직하고 과단성이 있으며, 남에게 잘 베풀면서도 정작 자기 일에는 방관하거나 속수무책인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이성관계로 구설수에 오를 수 있고, 남녀 모두 혼사가 쉽지 않아 일명 고독의 충이라고 합니다.

건강은 위장이나 비장계통의 질환에 주의해야 하고, 부동산으로 인한 관재, 구설, 송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6) 丑未충

형제나 친척에게 많이 베풀고도 공덕이 적고, 재산관계로 인한 다툼이나 손재수가 많이 발생합니다.

가까운 친, 인척과의 다툼이 일어나기 쉬워, 배우자 선택을 잘 해서 그 어려움을 풀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건강은 위장과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 주의해야 합니다.

(3) 지지충의 특성

천간은 정신적인 경우를 말하므로 충이 발생하여도 영향력이 크지 않습니다.

지지충은 실제 살아가는 환경을 뜻하므로, 충이 발생하면 뿌리가 흔들리는 격으로 영향력이 크게 작용 합니다.

천간에 충이 있는데, 지지도 충 하게 되면 천극지충이라하며 영향력이 매우 강하게 나타납니다.

사주명조에 자오묘유, 인신사해,진술축미 등의 특성이 같은 자리에 모여 사충이 되면, 충으로 여기지 않고,

특히 인신사해나 진술축미 충을 다 갖춘 남자는 대부대귀할 수 있는 명으로 보고,

여자는 그 반대로 보는데, 단 그 순서가 틀리면 해당이 없습니다.

충 옆에 합이 있으면, 충의 작용력이 약해지고 합의 작용력이 나타나는데, 합이 깨지면 충의 역할이 되살아납니다.

사주명조에 있는 글자가 운을 충 하면 내충이라 하여 길흉작용이 신속히 나타나고,

운이 사주명조를 충하면 외충이라 하여 길흉작용이 더디게 나타납니다.

형(刑)

형이란, 충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작용력은 약하며, 형벌과 수술 그리고 조정의 의미를 가지며, 사주명조에

형살이 있거나 운에서 형살을 만나면 본인이나 배우자가 의료, 법무, 세무, 금융등 사람의 목숨을 좌지우지하는 직업에

종사하거나, 조정, 수선, 조립과 같은 직업에 종사하면 그 피해를 면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형벌이나 수술, 교통사고나 상해로 인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합니다.

삼형의 성립은 지지의 삼합과 각 계절을 주관하는 방합이 서로 교차하며 대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1) 형의 종류

寅 巳 申 삼형

丑 戌 未 삼형

子 卯

辰辰, 午午, 酉酉, 亥亥 의 자형

(2) 형의 작용력

寅巳申형

 

타인을 억압하거나 업신여기려 하고 급하게 일 처리를 서두르다 후회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형벌, 구속, 사고, 구설이 있을 수 있으며, 가까운 사람들과 송사, 관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丑戌未형

믿는 사이에서 다툼과 불신이나 배신이 일어나는 일이 발생 할 수 있는데 사주명조에 축술미 삼형이 있고 사주구조가 좋으면

만인의 생사결정권을 갖는 권력형 직업을 갖거나, 공사가 분명한 인물이 된다고 합니다.

子卯형

호형(呼兄)이라고도 하며, 불청객이주인행세를 하는 몰염치한 비윤리적 상황이 연출되거나 불륜, 무례, 간통등으로 인한

구설, 시비, 형액이 따른다고 합니다.

명조가 조화로우면 산부인과, 비뇨기과와 같은 병원을 경영하기도 합니다.

辰辰, 午午, 酉酉, 亥亥 : 자형

자형은 그 영향력이 작아서 우리 학회에서는 잘 다루지 않습니다.

참고로만 하시기 바랍니다.

진진자형 : 왕한 水의 저장고로 인해서 수해, 냉해, 익사등의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오오자형 : 왕한 火의 폭발상태로 폭발, 충돌등의 사고를 당할 수 있고, 정신 신경계통의 질병이 오거나

무속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유자형 : 숙살하는 금기가 강한 까닭에 칼이나 기계등으로 인한 상해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해해자형 : 왕한 수의 피해로 수재, 폭설, 폭풍, 한파로 인한 해를 입거나, 혈액이나 비뇨기에 관한 질병

즉 고혈압이나 당뇨병, 신장계통의 질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刑의 해석

사주에 형이 있어도, 사주명조가 준수하면 명예와 권력을 쥐고 만인을 다스릴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형살로 인한 피해를 볼 수도 있으나, 세무, 법률, 의료와 조정, 수선, 조립의 의미로 해석하고

그러한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보시는 것이 합당하다 하겠습니다.

형살의 작용력 중 가장 강한 형은 寅巳申형이며,

다음으로는 丑戌未형이고,

그 다음으로 子卯형이며,

자형은 무시해도 될 정도로 그 작용력이 미미하다고 합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까지 합, 충, 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시간은 지장간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 보기로 해요.

오늘도 따뜻한 라떼를 준비했습니다.

밤에 커피 드신다고 잠 안오고 그런 거 없으시죠?

편한 밤 되시길 바랍니다~

 

cafe.daum.net/92301998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월인천강[강의록] > 간지론 강의록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9강. 육친  (0) 2020.08.19
기초8강. 지장간  (0) 2020.08.19
기초6강. 합(合)  (0) 2020.08.18
기초5강. 지지의 이해  (0) 2020.08.18
기초4강. 천간의 이해  (0) 2020.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