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루쟁이
소루쟁이는 물기가 있는 땅이면 아무 데서나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참소루쟁이, 묵밭소루쟁이, 금소루쟁이 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며 어느 것이나 약으로 쓸 수 있지요
생김새가 수영을 닮았으나 그보다 더 크고 무성하게 자라며 수영과는 달리 잎에서 신맛이 나지 않습니다.
땅속에 우엉뿌리처럼 생긴 노랗고 굵은 뿌리가 달리는데 이뿌리를 먹어 보면 약간 매운 듯하면서도 씁쓸한 맛이 납니다
잎과뿌리의생김새가한의원이나한약방에서 가장 널리 쓰는 설사약인 대황을 닮았으므로 한자로 토대황(土大黃), 또는 조선대황(朝鮮大黃)으로 쓰는데. 대황은 중국의 추운 북쪽지방에 흔히 자라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자생하지 않습니다
소루쟁이 뿌리는 맛은 맵고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 약간 독성이 있으며. 초산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을 복용하면 안됩니다. 열을 내리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뱃속에 있는 기생충을 죽이고 출혈을 멎게 하며 갖가지 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지요
옛날에는 머리에 버짐이 생긴 아이들이 많았는데 소루쟁이를 가루 내어 기름에 개어 붙이거나 날것을 짓찧어 붙이기만 하면 틀림없이 치유가될 정도로 신통방통햇답니다 머리 피부병, 마른 버짐, 무좀, 습진, 음부습진, 피부가려움증, 잘 낫지 않는 옴에 생뿌리를 즙을 내어 바르거나 말려서 가루 낸 것을 식초나 식용유에 개어서 바르면 신통하리만큼 잘 낮는답니다
백납 또는 백전풍이라고 하여 피부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에는 뿌리를 고약처럼 진하게 졸여서 바르면 되고요
뿌리를 달인 물은 자궁출혈이나, 위출혈, 코피 등을 멎게 하는 효과도 있으며 구토, 설사, 소화불량, 급만성 장염, 변비, 임파선염, 편도선염, 위염, 위궤양, 위암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답니다. 산천에 자생하는 모는식물은 각자
고유의 성분을가지고 있으며 독초도 그독을 중화시키면 인간에겐 아주 좋은 약입니다 . 하지만 어떤산야초를 어떻게 써야 이득이되는줄을 알고 쓰셔야 다른 장기에 피해가 가지 않는답니다.
소루쟁이 잎은 나물로 먹는다. 살짝 데쳐서 참기름으로 무쳐 먹어도 괜찮고 국을 끊여 먹으면 미역국 같은 맛이 난다. 국을 끊여 수시로 먹으면 고질적이고 심한 변비와 치질을 치료할 수 있다.
소루쟁이는 대황처럼 센 사하작용이 있는 것이 아니라 완만하고 지속적인 완하작용이 있으므로 아무런 부작용 없이 변비를 낫게 한다. 소루쟁이는 가장 이상적인 변비 치료제라고 할 수 있다. 오래 먹으면 장이 깨끗해지고 피가 맑아지며 살결이 고와지며 피부병이 생기지 않는다.
소루쟁이 뿌리는 염증을 없애고 갖가지 균을 죽이는 작용이 탁월하여 위염,위궤양, 폐염, 인후염, 기관지염, 위암, 등 모든 염증이나 암 치료에 쓸 수 있다. 최근에는 골수성 백혈병이나 임파성 백혈병에도 상당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잎과 뿌리 전체를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려 달여 먹거나 국을 끓여서 먹으면 된다.
민간에서 소루쟁이는 위암, 간암, 폐암, 뇌종양 등 온갖 암 치료약으로 쓰이며
강력한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통증을 멎게 하는 효과도 있어서 아픈 부위에 짓찧어 붙이면 곧 아픔이 멎는다.
소루쟁이는 열을 내리고 땀을 잘 나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감기, 폐결핵, 기침, 기관지염에도 효력이 있고 신장염이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에도 효험이 있다.
잇몸 염증으로 잇몸이 곪아서 피와 고름이 날 때에는 소루쟁이 잎을 진하게 달인 물로 입가심을 하거나 양치질을 한다. 뿌리를 곱게 가루 내어 물에 타서 입가심을 하거나 양치질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소루쟁이는 갖가지 피부병에도 좋은 약초다. 무좀과 습진, 원인을 알 수 없는 여러 가려움증에 효능이 있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명리 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간요법-24]7가지 죽의 종류와 효능 (0) | 2020.09.17 |
---|---|
[민간요법-23]개발나물 효능 (0) | 2020.09.17 |
[민간요법-21] 나리의 효능 (0) | 2020.09.16 |
[건강정보-20]고추의 효능 (0) | 2020.09.16 |
[건강정보-19]개머루 효능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