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陽燥烈(춘양조열)
질문: 춘양조열이란 무엇인가?
답: 춘양조열이란 춘절에 양기점왕(陽氣漸旺)하여 화기가 강열하므로 건조하다는 뜻이다.
춘양조열이란 물론 寅卯辰월을 말하는데 이때는 삼양.사양.오양으로 양기가 점점 강열하여 건조된 때이므로 왈 "춘양조열"이란 문구가 성립된다.
고로 正二三월 생이 사주에 화성이 많고 수기가 없으면 이에 해당되는데 이렇게 되면 모든 만물이 조고되는 상으로 불기(不奇)하게 되며, 이에 수근(水根)이 있거나 습토 즉 진토나 축토가 있으면 조열한 화성은 그 습토에 화생토하여 회기하게 되므로 조습한우가 조화되어 귀기히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춘양에 대하여 생각할 점은 물론 인묘월 多火는 그 화가 인묘에 근하여 화기가 장생하므로 조열로 보지만 만약 多金 또는 多水생이 인월이라면 아직 량기가 존재하여 있는 중 금수는 량하여 조열은 고사하고 습량지기가 있으므로 도리어 화를 요하게 되는 것과 또 진월도 춘양은 분명하나 진월생은 다화라도 진 습토에 회화(晦火)하여 조습이 조절되어 조열하지 않는 것이니 그 춘양이 대하는 오행과의 관계를 또 잘살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斷曰: 春陽燥烈에 濕土水貴인데 不得其星이면 功無百歲라.
(단왈: 춘양조열에 습토수귀인데 부득기성이면 공무백세라.)
단언하면: 춘양조열에는 습토와 수가 귀한데 그 성을 얻지 못하면 공이 백세토록 없게된다.
[주석]
양기점왕(陽氣漸旺): 양기가 점점 왕해짐.
불기(不奇): 귀하지 못하다. 좋지 못하다.
회화(晦火): 불을 어둡게 함.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명리 정보 > 명리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용례-38]가살위권 (0) | 2020.09.25 |
---|---|
[사주용례-37]전인후종 (0) | 2020.09.25 |
[사주용례-35]금실무성 (0) | 2020.09.25 |
[사주용례-34]재명유기 (0) | 2020.09.03 |
[사주용례-33]재자약살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