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 사주카페컨설팅

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2

제5강. 지장간

서 해(西海) 2020. 7. 31. 17:10

 

오늘은 다섯 번째 강의시간입니다

지장간(地藏干)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앞서 다루었던 천간(天干)은 의지와 생각 신념 관념 요런 개념입니다

반면 지지(地支)는 실체행동 생활 속 구체적 환경입니다

지지 속에는 여러 가지 상황들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변화합니다

일생동안 현실 속에 살아가는 동안에 주변 환경이나 내가 처한 상황들이

수시로 변하는 게 세상살이 입니다

해서 천간 지지 8글자에서 더 나아가 최대 12글자까지도 더 살펴보자 이겁니다

지지 속에 내포되어 있는 천간의 기운을 지장간(地藏干)이라고 정의합니다

 

                                          지장간 도표

 

(戊)

(壬)

(丙)

(甲)

(庚)

 

 

 

 

지장간 도표는 반드시 암기해야 할 부분입니다

(괄호)는 지장간이 아닌 월령용사를 표기해둔 것입니다

오래전 국내 어느 학자가 연해자평을 번역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월령용사를 지장간으로 잘못 해석하여 현재까지 많은 역술인이

월령용사를 지장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연해자평에서는 지장간과 월령용사를 분명히 구분하여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왜 지장간에 표기를 해두었냐 하시면 제 개인적 견해임을 말씀드립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사주 해석을 하다 보니 괄호속의 글자 하나가 아쉽고 필요할 때가

더러 있었기 때문입니다

 

월령용사는 단순히 월지(月支)를 살펴서 한 달 동안의 변화를

천간화(天干化) 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엄연히 지장간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월지의 기운만을 천간화 하여 살피는 것인데 신사주학에는 중요치 않아

교재 내용을 참고 하시어 살펴보시는 정도로 넘어 가겠습니다

 

자오묘유(子午卯酉)는 내포된 지장간이 한두 개로서 주관이 뚜렷하고

계절적으로도 오행적으로도 중심적 기운을 가집니다

인신사해(寅申巳亥)는 내포된 지장간이 모두 3개이며 모두 양입니다

의욕이 넘치고 활동성이 강한 기운입니다

진술축미(辰戌丑未)는 지장간이 모두 3개이며 음기와 양기가 함께 있습니다

잡기성이며 저장하고 창고역할이며 감추는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 부친이 지지에 축미 두 개입니다

대화를 재미있게 하시지만 속마음을 잘 감추십니다

잘 드러내질 않으시죠 감추고 빙빙 돌려서 말씀하십니다 하지만 표가 납니다

모친은 청개구리라고 놀리십니다 늘 엉뚱한 대답하신다고

축과 미는 음간으로만 3개이니 당연하지요

 

지장간은 월지와 상관없이 각 지지속에 내포되어 있는 천간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천간이 주연이고 지지가 무대이면 지장간은 조연 단역들입니다

천간 지지는 다 드러난 곳에 있고 지장간은 감춰져 있습니다

 

사주팔자에 돈이 없다고 한탄하지 마십시오 지장간에 있으면 되지요

남이 안보이는 곳에 안주머니 차고 있으니 뺏길 염려도 적고 다행 아닙니까

물론 드러난 사주상의 돈이 더욱 강하고 확실하긴 하지만 말입니다

사주 8글자에 부인이 있는데 지장간에 또 여자가 있으면 어떨까요

애인이 있다가 없다가 몰래 몰래 만나곤 하겠지요

게다가 사주상 직장 자리에 있다면 회사 내에 분명히 애인 있겠지요

조연과 단역들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지장간을 잘 살펴서 사주 해석을 하시면 누구보다 훌륭한 역술인이 될 것입니다

다음은 합충형(合沖刑)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fe.daum.net/92301998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월인천강[강의록] > 간지론 강의록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강. 공망(空亡)  (0) 2020.07.31
제6강. 합, 충, 형  (0) 2020.07.31
제4강. 12지지  (0) 2020.07.31
제3강. 10천간  (0) 2020.07.31
제2강. 오행(五行)  (0) 2020.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