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사주와 지리학
1. 쌍둥이 사주의 해석
1). 기존의 학설
(첫째 사주) 시 일 월 년
壬 丁 丙 戊
寅 巳 辰 午
첫째 사주와 천간 합이 되는 글자와 지지 육합이 되는 글자를 산출하고 둘째의
사주를 작성하여 감명을 합니다.
(둘째 사주) 시 일 월 년
丁 壬 辛 癸
亥 申 酉 未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에 관계없이 사용되며, 첫째 사주를 기준으로
둘째 사주는 합이 되는 글자들로 구성한다는 것입니다.
첫째의 년간이 戊(토)이므로 천간 합이 되는 癸(수)가 둘째의 년간이 된다는
것으로 천간 합인 戊癸(합) 火를 말합니다.
년지도 척째의 午(화)와 육합이 되는 未(토)를 사용한다는 것으로 午未(합)
火를 말합니다.
(풀이) 먼저 태어난 사람의 사주는 그대로 쓰고 뒤에 태어난 사람은 남자나 여자나
구분 없이 합이 되는 글자를 조합해서 새로운 사주를 구성하여 본다는 것입니다.
이때에 문제는 간지 배열이 60갑자에 맞지 않는 사주가 나온다는 것입니다.
또 한 가지는 같은 부모에서 태어났는데 부모에 대한 정보가 다르게 나옵니다.
2). 대안설
첫째와 둘째는 같은 부모와 같은 환경에서 태어났으므로 사주는 같은 것으로
사주는 그대로 해석을 합니다.
둘째 사주는 첫째 사주와 대운을 반대로 적용을 합니다.
다시 말하면 첫째 사주가 남자이고 대운이 순행이라고 하면 둘째가 남자라도
대운을 역행으로 해석을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첫째가 남자이고 대운이 순행이라고 하고 둘째가 여자라면 그대로 대운만
역행으로 하면 됩니다.
(첫째 사주) 시 일 월 년 (남명)
壬 丁 丙 戊
寅 巳 辰 午
癸 壬 辛 庚 己 戊 丁 (대운)
亥 戌 酉 申 未 巳 午
(둘째 사주) 시 일 월 년 (남명)
壬 丁 丙 戊
寅 巳 辰 午
己 庚 辛 壬 癸 甲 乙 (대운)
酉 戌 亥 子 丑 寅 卯
여기서 궁금증이 하나 더 생길수도 있겠지요.
만약에 세쌍둥이나 네쌍둥이 아니면 다섯 쌍둥이면 어떻게 해석을 할 것인가
우리가 육친에서 배웠듯이 무한대로 육친을 확대해 나가면 결국은 이치에
맞지 않게 됩니다. 어느 정도까지만 확대를 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듯이 쌍둥이
사주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말 그대로 쌍둥이 사주에만 적용을 하고 세쌍둥이
네쌍둥이는 더 연구를 해 보아야겠지요. 부득이 세쌍둥이 네쌍둥이 사주를 봐야
한다면 대운을 순행, 역행 순으로 대입해 보면 되겠습니다.
어디나 예외와 열외는 있습니다.
2. 명리와 지리학
사주의 오행과 육친을 분석하여 사주 주인이 어떤 지리적 환경에서 태어났으며
어떤 환경에서 살아갈 것인가를 알아보고 집안의 장손이 간여된 조상의 묘 자리를
추측하여 보겠습니다. 명리학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학문과 연결하여 확장을 해
나간다는 차원으로 인식하기 바라며 다만 맞고 틀리고만을 논하지 말아야 합니다.
1). 주거 환경의 추측
대운은 생활환경을 좌우하는 영향력을 가져서 대운의 향방을 살펴서 감명을 합니다.
寅, 申, 巳, 亥─ 역마성, 역주변, 정류장, 공항, 터미널 등
亥, 子, 丑─ 지하실, 도로 밑, 다리 밑, 물가, 낮은 곳 등
巳, 午, 未─ 높은 곳, 언덕 위, 고층 빌딩, 시내 중심, 번화가 등
申, 酉, 戌─ 서부, 서향, 서쪽, 공장 지역, 관공서 주변 등
대운의 방향이 巳, 午, 未운으로 흐른다면 육친에 관계없이 도심지나 번화가에서
생활을 하게 되는 경향이 많다는 것입니다.
대운이 亥, 子, 丑 운으로 흐르면 은둔생활을 하게 되거나 물가나 지하에서 생활을
하는 상황에 처한다는 것입니다.
2). 고향의 추측
식신이나 상관은 밥그릇이나 재능과 재주를 뜻하므로 식상의 오행으로 고향을
찾아봅니다.
水─ 바다, 섬, 강가, 항구, 해안, 포구 등
木─ 산, 숲, 외곽 지역, 전원생활, 시골 등
土─ 언덕, 전답, 분지, 들판, 평야 지대 등
金─ 공단, 돌밭, 돌산, 소란한 곳, 바위 언덕 등
火─ 번화가, 시내 중심가. 고층 빌딘 등
태어난 고향은 식상을 살펴서 추정하는바, 식상의 오행이 수이면 섬이나 바닷가,
항구, 포구 등에서 자랐을 확률이 높다고 하겠습니다.
사주에 수가 많다는 것은 물에서 살아가는 방법 또는 밤 생활을 잘하는 야행성
인 사람으로 해석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조상 묘의 추측
예로부터 장자나 장손이 집안의 제사나 집안을 대표하는 제도가 있었으므로
장손이 출생한 띠로 묘 자리를 추정합니다.
子, 午, 卯, 酉(띠)─ 산 중턱에 잘 드러난 곳
寅, 申, 巳, 亥(띠)─ 산 끝자락에 위치
辰, 戌, 丑, 未(띠)─ 산과 산 사이 심산유곡
집안을 대표하는 장손의 띠가 子(쥐)띠면 산 중턱에 잘 보이는 곳에 집안의
묘지가 조성되어 있다고 보는데 그 이유는 子, 午, 卯, 酉 글의 특성상 가장
힘 있고 유력한 글자들이기 때문입니다. 寅, 申, 巳, 亥는 글자의 특성상 이동,
역마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삼합의 출발이며 12운성의 장생을 의미하여 산이
시작되는 지점이며 끝자락에 위치한다고 추정하는 것입니다.
辰, 戌, 丑, 未는 12운성으로 묘나 장지로 표현하는바, 숨기고 저장하고 감춘다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 깊은 산속이거나 보이지 않는 깊숙한 곳에 위치한다고
추정합니다.
이것으로 쌍둥이 사주와 지리학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궁합을 공부하겠습니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