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 사주카페컨설팅

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2

월인천강신사주학 - 사주학 기초자료

서 해(西海) 2021. 6. 2. 12:59

 

기초 제 10 강 사주학 기초 자료

 

1. 24 절기(節氣)

옛날 역학이 탄생하던 시절에는 1년을 농사시기에 맞추어 24절기로 나누어 달력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사주학은 각각 월을 절기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관계로 절기학이라고도 부르며 농업환경을 통한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고 보인다. 보통 월(月)을 구분할 때는 12절(節)을 사용하여 분류하고 12기(氣)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원래는 24절기가 있고 그중에 12절과 12기로 나누어진다. 양력기준이다.

 

(1) 12절(節)

입춘(立春) 2월 4일 – 봄의 시작이며. 새해의 시작이다.

경칩(驚蟄) 3월 6일 –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

청명(淸明) 4월 5일 – 봄 농사를 준비한다.

입하(立夏) 5월 5일 – 여름의 시작이다.

망종(芒種) 6월 6일 – 씨를 뿌린다.

소서(小暑) 7월 7일 – 여름 더위가 시작된다.

입추(立秋) 8월 7일 – 가을의 시작이다.

백로(白露) 9월 8일 – 하얀 이슬이 내린다.

한로(寒露) 10월 8일 – 찬 이슬이 내린다.

입동(立冬) 11월 7일 – 겨울의 시작이다.

대설(大雪) 12월 7일 – 큰 눈이 온다.

소한(小寒) 1월 5일 – 겨울 중에 가장 춥다.

 

(2) 12기(氣)

우수(雨水) 2월 19일 – 봄비가 내린다.

춘분(春分) 3월 21일 – 낮이 길어진다.(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곡우(穀雨) 4월 30일 – 농사비가 내린다.

소만(小滿) 5월 21일 – 본격적인 농사를 시작한다.

하지(夏至) 6월 21일 – 낮이 가장 긴 시기이다.

대서(大暑) 7월 23일 – 더위가 가장 심하다.

처서(處暑) 8월 23일 –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커진다.

추분(秋分) 9월 23일 – 밤이 길어지는 시기이다. 밤과 낮의 길이가 같다.

상강(霜降) 10월 23일 – 서리가 내린다.

소설(小雪) 11월 22일 – 얼음이 얼기 시작한다.

동지(冬至) 12월 22일 – 밤이 가장 긴 시기이다.

대한(大寒) 1월 20일 – 겨울의 큰 추위다.

 

(3) 24절기의 해석

-. 봄(春) 절기

가. 입춘(立春) - 동풍이 불어서 언땅이 녹고 겨울잠을 자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물고기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한다.

나. 우수(雨水) -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고 겨울에 얼었던 대지

가 녹아서 물이 많아진다.

다. 경칩(驚蟄) - 날씨가 따뜻해져서 초목에 싹이 돋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이

깨어나 꿈틀대기 시작한다.

라. 춘분(春分) - 이 기간에는 제비가 날아오고 그 해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

마. 청명(淸明) - 날씨가 좋으면 청명하다는 말을 하듯 맑고 깨끗한 날씨이다.

바. 곡우(穀雨) - 봄비가 내려서 땅이 윤택해진다는 것이고, 못자리를 마련하여

농사준비를 시작한다.

여름(夏) 절기

사. 입하(立夏) - 여름에 들어섰다는 의미, 여름을 엄격히 구분하자면 입하부터

입추 전날까지를 여름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아. 소만(小滿) -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의미로 여름에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수확을 한다.

자. 망종(芒種) - 씨앗을 뿌려야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고 모내기, 보리 베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차. 하지(夏至) - 지구표면이 받는 열량이 가장 많아지고 열량이 쌓여서 하지이후

더욱 더위진다.

카. 소서(小暑) - 날씨는 더위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서 장마철이

시작된다.

타. 대서(大暑) -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하여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내린다.

 

가을(秋)절기

A. 입추(立秋) -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고 이슬이 진하게 내리며 귀뚜라미가 운다.

B. 처서(處暑) - 논에 벼가 익어가며 천지가 쓸쓸해진다.

C. 백로(白露) -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에 수증기가 엉겨서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 제비가 돌아가고 기러기가 날아온다.

D. 추분(秋分) - 추수가 시작되고 오곡이 풍성할 때이다. 대지에 물이 마르기

시작하고 벌레가 겨울잠을 준비한다.

E. 한로(寒露) - 서리가 내리고 단푸이 짙어지며 오곡백과를 수확하고 국화꽃이

핀다.

F. 상강(霜降) - 밤에 기온이 매우 낮아져 서리가 내리고 초목이 누렇게 변하고

겨울잠을 자는 벌레가 땅속으로 숨는다.

 

겨울(冬)절기

G. 입동(立冬) - 물과 땅이 처음으로 언다고 한다.

H. 소설(小雪) - 첫 겨울의 징후로 눈이 내린다는 의미이다.

I. 대설(大雪) -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다. 실제 추위는 동지가

지나고 부터다.

J. 동지(冬至) -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새알심이라는 단자를 만들어 넣어

먹고 역귀(疫鬼)를 쫒는다는 의미로 팥죽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K. 소한(小寒) - 대한보다는 덜 춥다는 의미지만 중국 북경 기준으로 절기가

만들어져서 한국은 소한때가 더 춥다.

L. 대한(大寒) -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이지만 실제는 소한 때

가 더 춥다.

 

2. 서머타임 실행 기간

시대적. 정치적 형편에 따라서 인위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으로 이 기간에 해당하는

사주는 마땅히 조정해서 보아야 한다. 여름에 날이 일찍 밝는다는 점에 한 시간을 앞당겨서 하루를 시작하였던 방법이다.

 

1) 1948년 음력 4월 23일 子시부터 음력 8월 10일 亥시까지.

2) 1949년 음력 3월 3일 子시부터 음력 8월 2일 亥시까지

3) 1950년 음력 2월 14일 子시부터 음력 8월 12일 亥시까지

4) 1951년 음력 4월 1일 子시부터 음력 8월 6일 亥시까지

5) 1955년 음력 3월 14일 子시부터 음력 8월 10일 亥시까지.

6) 1956년 음력 4월 11일 子시부터 음력 8월 25일 亥시까지

7) 1957년 음력 4월 6일 子시부터 음력 8월 28일 亥시까지

8) 1958년 음력 3월 16일 子시부터 음력 8월 8일 亥시까지

9) 1959년 음력 3월 27일 子시부터 음력 8월 17일 亥시까지.

10) 1960년 음력 4월 16일 子시부터 음력 7월 27일 亥시까지

11) 1987년 음력 4월 13일 寅시부터 음력 8월 18일 卯시까지

12) 1988년 음력 3월 23일 丑시부터 음력 8월 27일 丑시까지

 

3. 일간(日干 )의 특징

사주팔자 중에서 일간이 가지고 있는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천간의 운동성과 기운을 바탕으로 물상이나 성정으로의 확장을 연습해 보아야 공부가 된다. 일간이 속한 오행의 특징과 계절의 의미 그리고 시간적인 운동성을 종합하여 의식을 확장 한다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간지론 공부는 격용론 공부처럼 무조건 외우면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근본적인 이유를 살펴서 보다 깊게 파고들어 정확히 이해를 해 나가는 것이 가장 좋다.

아래 나열한 내용을 기초로 좀더 연구해서 물상확장을 하여 사주 감명에 적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1) 甲일주 – 자기주장이 강함. 비타협, 창조적, 발명, 고집, 통솔력

2) 乙일주 – 언변이 좋다. 달변가, 굴신, 타협, 유순, 온순, 재치

3) 丙일주 – 다혈질, 낙천적, 정열적, 정치, 예의바름, 스트레스

4) 丁일주 - 평상시 조용, 유사시폭발, 폭죽, 수사, 노력, 탐색

5) 戊일주 - 행동력, 추진력, 포용력, 보수적, 저장, 보스기잘

6) 己일주 - 우유부단, 거절을 못함, 규칙적, 비밀, 융통성, 그림자

7) 庚일주 – 시비, 분별, 건조함, 결실, 욕심, 구별, 냉정, 강직

8) 辛일주 – 자른다. 결단력, 분별, 결벽증, 냉철, 고집

9) 壬일주 – 부자경향, 음흉, 욕심, 분석, 이기적, 수집

10) 癸일주 – 얼음, 판결, 결벽, 냉정, 잘난척, 선민의식

 

4. 12지지 동물 분석

1) 쥐(子)

쥐는 일반적으로 영리하고 동작이 민첩하며 머리가 좋은 이미지로 인식되어 왔다. 긍정적 의미로는 다산과 풍요의 상징. 지혜와 현명함의 상징으로 약삭빠르고 머리가 뛰어남을 의미한다. 부의 상징으로 재물이 불어난다는 의미를 가진다. 귀엽과 현명함을 상징하여 여러 동화나 만화에 등장. 부정적 의미로는 야행성으로 도둑이나 탐욕을 상징한다.

 

2) 소(丑)

소는 농사일을 돕는 일하는 짐승으로 부와 재산 그리고 힘을 상징하고 농사의 신으로 인식되고 있다. 소의 성격은 순박하고 근면하며 우직하고 충직하다고 하겠다.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에서 소를 재물로 바쳤으며 귀신을 Whwsms 상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여유와 한가로움 그리고 평화로움으로 인식 되지만 반면에 고집이 세고 어리석고 아둔함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3) 범(寅)

호랑이의 용맹성은 군대와 권세 그리고 관직을 상징한다. 병이나 사귀를 물리치는 힘이 있고 무속에서는 산신을 상징하기도 한다. 범은 영웅들의 보호자고 양육자이며 국조의 조력자로 표현된다.

 

4) 토끼(卯)

부부애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다산을 의미한다. 달과 토끼 그리고 여성의 생리현상과 동일하여 토끼는 여성의 속성에 속하는 동물이다. 일반적으로 속임수의 명수로 나오며 의롭고 꾀가 많은 동물로 나오지만 소심하고 경망하며 겁쟁이로도 불린다.

 

5) 용(辰)

비나 바람을 몰고 다니며 강이나 바다에서 산다고 하여 용은 물의 신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호법신이나 호국신으로 등장하는 예가 많다. 용은 임금을 상징하며 임금의 얼굴은 용안, 옷은 곤룡포, 임금의 즉위식은 용비로 불린다.

 

6) 뱀(巳)

냉혈 인간으로 주로 차갑고, 징그럽고, 생각만 해도 소름끼치는 사악한 사람을 떠올리게 된다. 유혹, 여자, 무섭다, 두렵다, 위혐, 날카롭다, 매섭다, 죽은 자의 영혼, 끈질긴 생명력, 악업, 다산성, 재생이나 혁신의 본보기를 상징한다.

 

7) 말(午)

말은 박력과 생동감, 뛰어나 순발력, 탄력있는 근육, 탄탄한 체형, 강인한 인상 등이며 모든 액막이와 행운을 부르는 상징으로 사용을 해왔다. 이승과 저승을 잇는 영매자로서 죽은 자의 영혼이 타고 저세상을 가는 동물로 상징된다. 고대에는 교통이나 통신등으로도 많이 이용되었으며 신성한 동물이나 상서로운 동물이다.

 

8) 양(未)

양의 이미지는 순하고 어질고 착하며 참을성이 있는 동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평화가 연상된다. 양은 언제나 약하여 희생의 상징이 되고 가장 큰 상징적 의미는 속죄양이다. 양띠는 너무 정직하고 정의로워서 부정을 못보고 너무 착해서 부자가 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양은 털, 고기, 뼈 등 어느 것하나 버릴게 없는 일상생활에 유익한 동물이다.

 

9) 원숭이(申)

원숭이는 인간과 가장 많이 닮은 영장 동물로 만능 재주꾼이면서 귀신과도 가까워서 신출귀몰이나 귀신을 쪼는 상징적 의미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원숭이는 동물 가운데 가장 영리하고 재주가 많은 동물로 꼽힌다. 예로부터 부귀와 다산 장수의 상징이었다. 너무 사람을 많이 닮아서 간사스럽고 재수없는 동물로 잔꾀나 잔재주를 의미하기도 한다.

 

10) 닭(酉)

새벽을 알리는 우렁찬 닭의 울음소리는 한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서곡을 상징한다. 닭 울음소리와 함께 새벽이 오면 어둠이 끝나고 밤을 지배하던 마귀나 유령도 물러간다고 생각하여 옛날 사람들은 귀신들이 닭을 무서워한다고 생각했다. 닭 그림은 닭과 열댓 마리의 병아리를 그려 오복의 하나인 자손의 번창을 염원하는 뜻을 상징하고 있다. 닭을 길조 서조로 생각했기 때문에 결혼식 초례상에 닭을 두고 마주서서 백년가약을 맺었다.

 

11) 개(戌)

개는 인간에게 헌신하는 충복의 상징이다. 대부분의 속담에서 개는 어리석음, 비천한, 비도덕적, 더러운, 쓸데없는, 하찮은, 우둔한, 무식한, 보기흉한, 굶주린, 비천함, 게으름의 상징으로 표현된다. 긍정적 의미로는 집을 지키는 사냥, 수호신, 잡귀, 요귀를 쫓는, 전염병을 방지하고 재난을 경고하고 예방하는 존재로 믿어왔다.

 

12) 돼지(亥)

돼지는 부와 복으로 생각하고 돼지를 재운과 행운의 상징으로 생각했다. 옛날에는 돼지를 신통력을 지닌 동물로 생각하고 예언자, 길잡이 구실을 하여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낼 때 희생물로 돼지머리를 이용하였고 돼지를 매우 신성한 존재로 취급하였다. 탐욕스러움, 게으른, 미련한 듣기 싫은 목소리, 욕심쟁이, 지저분한 등으로 먹을 것이나 탐하는 동물로 취급한다.

 

5. 오행기능 표

 

오 행
계절 여름 사계 가을 겨울
천간 甲乙 丙丁 戊己 庚辛 壬癸
지지 寅卯 巳午 眞戌丑未 申酉 亥子
방위 중앙
오색
위치 교외 번화가 중심가 공장가 물가
오장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
오기
성품 자상 명랑 과묵 예리 엉큼
오궁
오상 인(仁) 예(禮) 신(信 의(義) 지(智)
행동 생산 할동 중계 통치 저장
오미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오체 근육 혈관 고기 기침 뻐골
오직 문관 예술 농토 무관 어업
오지 성냄 기쁨 생각 슬픔 공포
오음
신앙 유교 예수교 토속신 불교 도교
오성 인애 강맹 관용 살벌 유화

 

[참고문헌 : 월인천강 新사주학 저자 서해스님 ]

 

월인천강신사주학 - Daum 카페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