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본원17기 서연입니다.
이른 아침부터 울산은 눈이 내렸어요. 그것도 첫눈이요~
처음엔 눈발이 약해서 조금 시시한 면도 있었는데, 곧 함박눈이 되어
온 세상이 하얗게 보였답니다.
아직도 아침에 맞는 퐁퐁 내리던 함박눈을 잊을 수 없어요.
첫눈이 올때 소원을 빌면요, 소원이 이루어 진대요~
마음 깨끗하게 간절하게 소원도 빌었습니다.^^
여러분들을 위한 기도도 빠뜨릴 수 없지요.
새해에도 원하시는 일들 원만하게 이루어지기를, 두루 평안하시기를 발원합니다.
오늘은 지장간과 월령용사에 관하여 같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초편에서도 다 다루었던 내용이지만 개념 정리 정도로 보시면 되겠고
중급편에서는 좀 더 깊이있게 살펴 보도록 해요.
― 목차 ―
1. 사주에 없거나 부족한 오행과 육친
2. 사주에 강한 오행과 육친
3. 근묘화실과 위치에 따른 육친 변용법
4. 육친의 확장과 변용법
☞5. 지장간과 월령용사
6. 12운성과 12신살
7. 격국용신론
8. 공망(空亡)
9. 사주팔자의 해석 순서
10. 사주 감명의 핵심
11. 당사주 보는 법
12. 래정법
제5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12지지 속에 각각 천간의 기운이 저장되어 있는데 그것을 지장간 또는 인원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보통 천간은 주인공이고 지지는 조연이고 지장간은 엑스트라라고 합니다.
지장 간에 있는 것도 사주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또한 보이지는 않지만 때에 따라서 나타나서 활동을 하는 것이 지장간 입니다.
천간에 있는 글자가 지지에 뿌리를 두었다면 아주 강한 기운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천간이 지지에 뿌리가 없다면 사용이 불가능해 집니다.
지지에 있는 글자는 무조건 100%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지에 글자가 천간에 투간이 되어 있지 않아도 무조건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주 상에 나타나 있는 육친뿐만 아니라 지장 간에 숨어있는 육친까지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모든 인간사의 보이지 않는 내면의 비밀을 알아 보는데 사용합니다.
12지지를 천간으로 변환하여 볼 때는
子은 癸, 丑은 己, 寅은 甲, 卯는 乙, 辰은 戊, 巳는 丙으로
午는 丁, 未는 己, 申은 庚, 酉는 辛, 戌은 戊, 亥는 壬으로 봅니다.
지장간 도표는 충분히 숙지해 두어야 할것 입니다.
우리학회는 지장간을 아주 중요하게 살핍니다.
子 (癸) 午 (己, 丁) 卯 (乙) 酉 (辛)
寅 (戊, 丙, 甲) 申 (戊, 壬, 庚) 巳 (戊, 庚, 丙) 亥 (甲, 壬)
辰 (乙, 癸, 戊) 戌 (辛, 丁, 戊) 丑 (癸, 辛, 己) 未 (丁, 乙, 己)
모든 지지는 합, 충, 형에 의해서 오행의 성질이 변하는데
지장 간에 감추어져 있던 기운이 밖으로 나오는 형태도 잘 알아야 된다고 봅니다.
子, 午, 卯, 酉 는 각 계절의 제왕지로 지장 간이 하나 밖에 없으며 어떤 변화에도
절대 변하지 않는 아주 강한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다른 글자를 변화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午는 己가 하나 더 있는데 火와 土는 12운성으로 함께 가기에 하나로 보는 것입니다.
寅, 申, 巳, 亥 는 각 계절의 장생지로 모두 양간만 3개 있고 모두 계절의 첫 기운을 가지고 있으며
역마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합, 삼합에 의하여 두 번 변합니다.
그냥 변하진 않겠죠. 무슨 근거로 변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寅의 지장 간에는 (戊, 丙. 甲) 이 있는데 삼 합 => 午를 만나면 丙(火)로 인하여 火로 변하고
방 합 => 卯를 만나면 甲(木)으로 인하여 木으로 변하고 戊 (土)는 앞 글자가 土이기 때문입니다.
申의 지장 간에는 ( 戊, 壬, 庚) 이 있는데 삼 합=> 子를 만나면 壬(水)로 인하여 水로 변하고
방 합=> 酉을 만나면 庚(金)으로 인하여 金으로 변하고 戊 (土)는 앞 글자가 土이기 때문입니다.
巳의 지장 간에는 (戊, 庚, 丙) 이 있는데 삼 합=> 酉을 만나면 庚(金)으로 인하여 金으로 변하고
방 합=> 午를 만나면 丙(火)로 인하여 火로 변하고 戊 (土)는 앞 글자가 土이기 때문입니다.
亥의 지장 간에는 (甲, 壬) 이 있는데 삼 합=> 卯를 만나면 甲(木)으로 인하여 木으로 변하고
방 합=> 子를 만나면 壬(水)로 인하여 水로 변합니다.
亥에는 왜 戊(土)가 없을까요?
천간의 오행 상 같이 가던 火와 土가 戌에 입묘되어 버렸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우리가 추구하는 간지 론에서 가장 핵심으로 다루는 부분인
辰, 戌, 丑, 未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격용 론에서는 중요하게 사용하지 않지만 우리는 아주 세밀하게 이해를 해야 합니다.
* 辰이라고하는 글자는 (乙, 癸, 戊)
첫째, 申, 子, 辰이라는 삼 합작용을 하는 글자로서 12운성으로 보았을 때 水를 입묘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辰이라는 글자를 보면 가장 먼저 생각해야하는 부분이 土가 아니고 水를 입묘시킨다는 점입니다.
辰, 戌, 丑, 未(土)는 오행에서 木, 火, 金, 水와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음양이 분화하여 사상(四象)이 되는데
먼저 음(陰)이 태음(太陰)과 소음(少陰)으로 분화되고 양(陽)이 태양(太陽)과 소양(少陽)으로 분화되는데
음양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土라고 정리를 하면 될거 같습니다.
그래서 土를 중계, 연결 작용으로 보는 것입니다.
아직도 격용론을 하시는 대부분이 木, 火, 土, 金, 水를 나무, 불, 흙, 쇠, 물이라고
생각하는거 같습니다.
두 번째로 辰은 계절의 연장으로 보면 봄입니다.
寅, 卯, 辰은 봄입니다. 辰은 土이전에 봄이라는 木으로 작용을 합니다.
세 번째로 辰은 여름을 낳습니다.
봄과 여름을 연결해주는 작용을 합니다.그래서 다음 글자인 巳를 낳습니다.
이렇게 辰을 이해하시면 될거같습니다.
* 戌이라는 글자는 (辛, 丁, 戊)
寅, 午, 戌이라는 火국을 이루는 삼합작용을 합니다.
12운성으로 보았을 때 火를 입묘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戌은 계절의 연장으로 申, 酉, 戌 가을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을이라는 金작용를 합니다.
戌은 겨울을 낳습니다.
戌은 가을과 겨울을 연결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그리고 다음 글자인 亥를 낳습니다.
* 丑이라는 글자는 (癸, 辛, 己)
巳, 酉, 丑이라는 金국을 이루는 삼합작용을 합니다.
12운성으로 보았을 때 金을 입묘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丑은 계절의 연장으로 亥, 子, 丑 겨울을 뜻합니다.
그래서 겨울이라는 水작용을 합니다.
丑은 겨울과 봄을 연결해주는 작용을 하며 다음 글자인 寅을 낳습니다.
* 未라는 글자는 (丁, 乙, 己)
亥, 卯, 未라는 木국을 이루는 삼합작용을 합니다.
12운성으로 木을 입묘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未는 계절의 연장으로 巳, 午, 未 봄을 뜻하겠지요. 그래서 여름이라는 火작용을 합니다.
未는 여름과 가을을 연결해주는 작용을 하며 다음 글자인 申을 낳습니다.
만약에 사주에 辰이 있는데 운에서 子라는 글자가 온다면 辰(土)는 무엇으로 변할까요?
水로 변합니다. 그 근거는 辰의 지장 간에는 乙, 癸, 戊가 있는데
癸라는 지장간이 작용을 해서 水로 변한 것입니다.
乙이 작용을 할 때는 무엇을 만날 때일까요?
그렇죠. 寅이나 卯를 만나서 방합 작용으로 봄인 木작용을 辰이 하는 것입니다.
辰, 戌, 丑, 未는 이렇게 정리하시면 되겠습니다.
辰의 지장 간에는 木도 있고 水도 있고 土도 있습니다.
그것들이 외부에 어떤 글자를 만나면 변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土 는 여러 가지가 모여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辰, 戌, 丑, 未월에 태어난 사람들의 격을 잡을 때는
항상 앞에 잡기라는 말을 붙여 잡기 재격, 잡기 관격 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남자 乙(木)일간이 辰을 정재로 사용하는 있는데
子라는 글자가 운에서 오면 배우자가 변해서 사라집니다.
아내 역할을 못 하겠지요. 그런 변화를 볼 수 있어야 할거같습니다.
각 글자의 성질과 물상으로의 분화도 매우 중요하지만 지장 간에 감추어져 있던 기운이
간섭인자로 인하여 글자 성질이 변하는데 그 변화를 잘 읽어야 합니다.
다음은 월령용사(月令用事)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월령용사는 월지에 한하여 응용되는데
일주의 신강(身强)가 신약(身弱)을 자세히 구분 짓기 위해서
절기의 깊고 얕음을 따져보기 위해서 있는 것입니다.
월령(月令)이라는 말의 뜻은 월은 태어난 달을 말하고 령(令)은 우두머리를 의미합니다.
* 월 령 분 일 용 사 (月 令 分 日 用 事)표 *
여기 중기 정기
子월; 대설 후 壬 10일간 癸 20일간
午월; 망종 후 丙 10일간 己 9일간 丁 11일간
卯월; 경칩 후 甲 10일간 乙 20일간
酉월; 백로 후 庚 10일간 辛 20일간
寅월; 입춘 후 戊 7일간 丙 7일간 甲 16일간
申월; 입추 후 戊 7일간 壬 7일간 庚 16일간
巳월; 입하 후 戊 7일간 庚 7일간 丙 16일간
亥월; 입동 후 戊 7일간 甲 7일간 壬 16일간
辰월; 청명 후 乙 9일간 癸 3일간 戊 13일간
戌월; 한로 후 辛 9일간 丁 3일간 戊 13일간
丑월; 소한 후 癸 9일간 辛 3일간 戊 13일간
未월; 소서 후 丁 9일간 乙 3일간 戊 13일간
월령용사는 월이 시작되는 접일 일부터 계산을 하여 가장 왕성한 역할을 하는 천간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각각의 월은 날짜의 흐름에 따라서 다른 천간의 지배를 받는다.
지장간과 월령용사는 별개임을 아셔야합니다.
오랫동안 지장 간과 월령용사를 구분하지 않고 월령용사를 지장간으로 사용되어 왔으므로
다소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우리 월인천강 新사주학회 에서는 월령용사를 사용하지 않으니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지장간은 지지 안에 천간의 기운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장간과 월령용사에 대해 함께 공부를 해 보았는데요,
유익한 시간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음시간에는 12운성과 12신살에 대해 함께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늘 편안하시고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월인천강[강의록] > 간지론 강의록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급7강. 격국용신론 (0) | 2020.08.20 |
---|---|
중급6강. 12운성과 12신살 (0) | 2020.08.20 |
중급4강. 육친의 확장 (0) | 2020.08.20 |
중급3강. 근묘화실 (0) | 2020.08.20 |
중급2강. 사주에 강한 오행과 육친 (0)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