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본원17기 서연입니다.
마치 폭풍이 지나간 뒤의 느낌처럼 고요한 마음이 평화롭습니다.
그러나 폭풍이 휩쓸고 간 뒤의 어수선한 흔적은 아직도 그대로 남아서 꽤나 신경써서 마음을 들여다 봅니다.
벌써 봄기운이 오는 듯 따사롭습니다.
나의 마음 탓이겠지요?
오늘은 근묘 화실과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 법을 같이 공부해보겠습니다.
사주를 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근묘 화실은 사주 8글자를 적으면서 바로 해석이 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관법이라고 봅니다.
근묘화실만 익혀도 년, 월, 일, 시 어느 위치에 어느 육친이 있느냐에 따라서 바로 해석이 가능하지요.
격용론을 공부하시는 분들은 별로 사용을 하지 않는 부분인데 저희 학회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사용을 합니다.
― 목차 ―
1. 사주에 없거나 부족한 오행과 육친
2. 사주에 강한 오행과 육친
☞3. 근묘화실과 위치에 따른 육친 변용법
4. 육친의 확장과 변용법
5. 지장간과 월령용사
6. 12운성과 12신살
7. 격국용신론
8. 공망(空亡)
9. 사주팔자의 해석 순서
10. 사주 감명의 핵심
11. 당사주 보는 법
12. 래정법
제3강. 근묘화실과 위치에 따른 육친변용법
근 묘 화 실(根苗花實)
근묘 화실은 글자 그대로 “뿌리 근, 모 묘, 꽃 화, 열매 실” 로
뿌리와 줄기, 꽃과 열매를 뜻하며 사주팔자 4기둥인 년주, 월주, 일주, 시주를 말합니다.
년, 월, 일, 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있을 것이 있을 곳에 있느냐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어느 자리에 어느 육친이 있어야 마땅하지만 그 자리에 없고 반대되는 육친이 자리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문제를 살펴서 감명하는데 활용 하면 됩니다.
- 년 주(年 住)는..
사주 첫 머리의 기둥으로 근본 바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년 주를 뿌리라 하고 태어나서 20세 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육친으로는 조상의 자리로 봅니다.
사주를 가옥으로 보았을 때 집터 전체를 뜻하며 네 기둥의 근본이라 합니다.
- 월 주(月 住)는..
사주의 둘째기둥으로 뿌리에서 싹이 나서 줄기로 자라는 모습을 뜻하며
20세부터 40세까지의 청, 장년기를 의미하며 부모, 형제 가문의 덕을 의미합니다.
육친으로는 부모의 자리로 봅니다.
사주를 가옥으로 보았을 때 기둥에 해당되며 자신의 직업을 의미하는 중요한 자리로 봅니다.
- 일 주 (日 住)는..
사주의 셋째 기둥으로 일주는 줄기에서 핀 꽃이라고 하며 40세부터 60세까지의 장년 시절에 해당됩니다.
육친으로는 본인의 가정과 배우자, 남편, 부인의 자리로 봅니다.
사주를 가옥으로 보았을 때 안방이나 거실에 해당되며 일주는 부부 생활, 가정 영위등을 알아보는 자리입니다.
일과 시에 있는 글자는 일찍 사용하지 못하고 약 40세 이후에 사용이 가능 하다고 봅니다.
- 시 주 (時 住)는..
사주의 넷째 기둥으로 시주는 열매라고 하며 60세부터 말년까지의 기간에 해당됩니다.
육친으로는 자녀와 손자, 부하, 종업원 등의 자리로 봅니다.
사주를 가옥으로 보았을 때 대문 밖에 해당되며 말년과 자손의 길 흉 을 알아보는 자리입니다.
예를 들어 시기적으로 분석해본다면 년에 편재가 있다면 편재가 극하는 인성의 문제로 인하여
어릴 때 돈이나 여자문제로 학문을 게을리 할 수가 있다고 봅니다
또 년, 월, 일에 관성이 없고 시에 관성이 있는 남자라면 일찍 조직생활이나 직장생활을 하기
힘든 사주라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남자사주에 일지에 겁재가 있다면 부인이 있을 자리에 다른 남자가 있는 모습이니 배우자 인연이 불안하다고 봅니다.
이렇게 아무리 좋은 육친이라도 있을 자리에 있지 않고 엉뚱한 자리에 있다면 결코 좋은 작용을 하지
못한다는 점을 유념하시고 위치에 의한 육친 변용 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비 견
년 ㅡ 성장성 발달, 친구를 좋아함.
월 ㅡ 부모와 불화, 형제가 많다.
일 ㅡ 배우자와 인연이 박하다.
시 ㅡ 타인과 금전거래 손실.
년 간 에 비견이 있으면 반드시 형제, 자매가 있고
월간에 비견은 반드시 형제 자매가 있고 편재를 극하여 부친과 불화한다.
일에 비견은 배우자가 본인의 방식이나 환경에 따를 것을 강요하여 시비가 일어난다.
시간에 비견이 있으면 본인의 상속을 받을 사람이 양자가 될 경우가 있다.
2) 겁 재
년 ㅡ 경쟁이나 투쟁심이 강하다.
월 ㅡ 상속의 분배, 재물 손해.
일 ㅡ 남자=처의 건강 불안, 여자=후처가 된다.
시 ㅡ 자녀로 인한 손재가 발생.
년에 겁재가 있으면 정치성이 강하고 투쟁심이 강하며
월에 겁재는 부모 재산을 나눠 가지며 금전적 손해를 본다.
사주 일지에 겁재 또는 양인이 있으면 배우자의 건강이 좋지 못하며
시에 겁재가 있으면 재물 손해가 발생한다.
겁재가 년이나 월에 있으면 집안에 장자가 되기 어렵고 겁재와 상관이 동주하면 버릇이 없고 건방지다.
월에 비견이나 겁재가 있으면 부모의 재산과 정을 나누어 가져야 하거나 부모 형제를 위한 희생요소로 본다.
3) 식 신
년 ㅡ 조부의 부귀, 의식주가 풍부하다.
월 ㅡ 유산상속 혜택, 재능의 발달.
일 ㅡ 재물생산 능력, 배우자와 유정.
시 ㅡ 말년의 장수, 자녀의 출세.
년 에 식신은 조상의 부귀를 말하고
월 에 식신은 부모로부터 유산을 받을 수 있으며
일 에 식신은 배우자와의 관계가 좋음을 의미하고
시 에 식신은 훌륭한 자녀를 두고 효자가 된다.
월지에 식신이 있으면서 사주가 강하면 몸집이 크고 음식을 즐긴다.
남자가 일지에 식신이 있으면 부인이 신체가 크고 마음이 넓거나 부인에게 많은 애정을 표현한다.
4) 상 관
년 ㅡ 조상인연 박함, 풍류성이 강함.
월 ㅡ 천재성, 부모와 불화.
일 ㅡ 남자= 자녀와 인연이 약하다.
여자= 남편의 덕을 입기 어렵다.
시 ㅡ 남자= 무자식. 여자= 말년에 외로움.
년에 상관이 있으면 어려서 반항기가 있고
월에 상관은 머리는 비상하나 법과 질서를 지키지 않는다.
일에 상관은 남자는 관성을 극하여 자녀와 인연이 약하고 여자는 남편과 이별하기 쉽다.
시에 상관은 남자는 자식과 인연이 약하고 여자는 노년에 외롭다.
년 간 에 상관이 있으면 집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객지로 나가고 조상 덕이 부족하다.
년의 간지가 모두 상관이면 단명 한다.
상관이 재성을 만나지 못하면 잔재주만 있을 뿐 가난하다.
5) 편 재
년 ㅡ 큰 재물을 지닌 조상, 학업중단.
월 ㅡ 장사수단, 유산분배.
일 ㅡ 남자= 사업성이 강한 배우자. 여자= 시부모와 동거.
시 ㅡ 남자= 대문밖 의 여자 문제. 여자= 시부모 봉양.
년에 편재가 있으면 부자조상이 있고 공부하는데 어려움이 생기며
월에 편재는 상업사주로 수단이 좋다.
일에 편재는 남자는 사업성이 강한 부인을 말하고
시에 편재는 남자에게 애인이 있음을 의미한다.
년주에 편재가 있으면 조상의 가업을 승계하고
월주에 편재가 있고 천간에만 편재가 있으면 술과 여자를 좋아한다.
여자가 일지와 시지에 편재가 있으면 시부모를 오래도록 모신다.
6) 정 재
년 ㅡ 부유한 조상, 검소, 학업방해.
월 ㅡ 유산상속, 구두쇠.
일 ㅡ 금전 혜택, 원만한 배우자.
시 ㅡ 남자= 결혼이 늦다. 여자= 시부모나 친정의 상속.
년의 정재는 조상이 부유하고 학업에 방해가 있으나 공부는 적당히 하며
월에 정재는 부모로부터 유산상속.
일에 정재가 있으면 남자는 좋은 배우자 혜택이 있고
시에 정재가 있으면 남자는 결혼이 늦다.
월지에 정재가 있으면 용모는 단정하며 성실하나 구두쇠 기질.
시간에 정재가 있으면 자수성가하고 남이 봐 줄만한 재물을 축적한다.
7) 편 관
년 ㅡ 조상의 영달, 여자는 애인.
월 ㅡ 사립학교 인연, 권력형 직장과 인연.
일 ㅡ 남자= 처의 잔소리. 여자= 폭력적인 남편.
시 ㅡ 남자= 봉사단체 벼슬이나 감투. 여자= 직장이나 애인.
년에 편관이 있으면 조상의 벼슬이 높고
월에 편관은 본인의 직장이 기술직이거나 권력형 직업을 가진다.
일에 편관은 처가 사납고
시에 편관은 봉사단체의 감투를 뜻한다.
편관은 무관이고 정관은 문관이며 편관과 인수가 같이 있으면 결재권을 갖는 사람이다.
여자사주에 편관이 많고 정관이 있으면 결혼은 두 번 할 수 있고
관살 혼잡하면 집에서 살림만 하지 말고 직업을 가지는 것이 좋다.
8) 정 관
년 ㅡ 남자= 명예높은 가문. 여자= 시집을 빨리 간다.
월 ㅡ 남자= 가권의 상속, 좋은 직장. 여자= 현모양처.
일 ㅡ 남자= 좋은 직장 인연. 여자= 남편 덕이 좋다.
시 ㅡ 남자= 말년의 벼슬. 여자= 결혼이 늦다.
년에 정관이 있으면 벼슬이 높은 가문이고
월에 정관은 본인의 직장이 좋거나 부친의 가업을 이어받는다.
일에 정관은 좋은 직장이고 시에 정관은 말년에 벼슬을 뜻한다.
년 주에 정관이 있으면 장남으로 일가의 후계자가 된다.
월 주에 정관이 있고 인수와 같이 있으면 명예가 높고 부귀함.
시 주에 정관은 출세한 자녀를 둔다.
9) 편 인
년 ㅡ 조상인연 박함, 성장성 부족.
월 ㅡ 부모덕 부족, 이공계학문.
일 ㅡ 남자= 자기중심적, 여자= 자녀와 이별.
시 ㅡ 활동성 약화, 건강문제.
년에 편인이 있으면 조상과 인연이 약하고
월에 편인은 부모덕이 부족하며
일에 편인은 마마보이 기질이 있고
시에 편인은 노년에 활동성이나 건강에 문제를 의미한다.
월지에 편인은 전문기술직에 종사하는 것 이 좋다.
일지에 편인은 배우자운을 좋지 못하게 하고 결혼 운이 나쁘다.
10) 정 인
년 ㅡ 학문발전, 인내심.
월 ㅡ 자부심, 자격증, 상속.
일 ㅡ 남자= 마마보이. 여자= 자녀이별.
시 ㅡ 특수재능, 종교나 늦은 공부.
년에 인수가 있으면 학문에 발전이 있고
월에 인수는 상속을 받거나 문서재산을 받는다.
일에 인수는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이며
시에 인수는 종교생활을 하거나 늦공부를 한다.
년 주에 인수가 있으면 명문가의 자손이고
식신이 같이 있으면 타인의 존경을 받고 신용이 있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근묘화실과 위치에 따른 육친에 대해서 살펴보셨는데요,
시간을 할애해서 충분히 익혀두시면 떨어지지 않는 총알이 되어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근묘화실과 위치에 따른 육친을 살펴보고, 또 있어야 할 자리에 있는, 혹은 없는 육친을 살펴보며
학습해 보시길 바랍니다.
다음시간은 육친 변용법에 대해 더 깊이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나른한 오후, 한 5분쯤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셔도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월인천강[강의록] > 간지론 강의록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급5강. 지장간과 월령용사 (0) | 2020.08.20 |
---|---|
중급4강. 육친의 확장 (0) | 2020.08.20 |
중급2강. 사주에 강한 오행과 육친 (0) | 2020.08.20 |
중급1강. 사주에 부족한 오행과 육친 (0) | 2020.08.20 |
기초12강. 사주정립법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