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 사주카페컨설팅

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2

오행이란 무엇인가?

서 해(西海) 2021. 10. 21. 12:51

제2장 오행

1. 오행의 정의

한문으로 오행은 다섯 오, 나아갈 행으로서 다섯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뜻이다.

즉 하루라는 시간이 다섯 가지 변화(봄, 여름, 가을, 겨울)를 거친다는 뜻이다.

오행을 계절적 의미로 이해하지 못하고 木을 나무가 아닌 시간적 개념으로 의식하기 바란다.

우주의 생성이 무극-태극(음양)-사상으로 분화되었고 음양에서 사상으로 재차 나눠지는데 動하기 시작하는 의미인 少양, 動이 극에 이른 상태인 老(태양), 靜하기 시작하는 少음, 靜이 극에 이른 상태인 老(태음)을 일컬어 사상(四象)이라 한다.

오행을 사상에 배치하면 木은 소양, 火는 태양, 金은 소음, 水는 태음이고 土는 음양과 노소와 목화금수의 충기(沖氣)가 응결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토는 계절과 계절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며 크게는 봄과 여름인 陽과 가을과 겨울인 陰을 연결해 주는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음양오행은 하루라는 음양이 사계절이라는 오행을 지나가는 현상을 뜻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이와같이 목,화,토,금,수는 한마디로 계절을 대표하는 단어로 이해 해야지 글자 그대로 나무,불,흙,쇠와 물로 해석되고 표현된다면 이것은 문자에 빠져서 기운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는 꼴이 될 것이다.

木을 생각하면서 나무에서 새싹이 돋아나는 것을 보고 봄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문자, 계절을 대표하는 문자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를 일으키는 자연현상에 집중하는 자세가 명리를 공부하는 학인으로서 올바른 태도일 것이다.

2. 오행의 본질

1) 木의 본질

木은 봄이라는 계절적 의미를 문자화한 것으로 木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는 봄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마땅하겠다.

봄은 사계절의 시작이며 새로운 탄생을 의미한다.

無에서 有를 창조하는 것과 같아서 봄 들녘에 새순이 돋는 모습을 연상케하고, 한 방향으로 곧게 솟아오르는 기운과 성향을 가지며 동시에 방해물을 만나면 돌아서 가는 굴신의 운동성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木을 확장해석해 보면 인생의 시작인 소년기를 뜻하고, 모든 일의 시작인 계획과 창조로 해석할 수 있고 확대해석하면 대화, 타협 그리고 통솔력도 봄에 음기를 뚫고 나오는 봄의 기상을 의미할 수 있다.

木을 하루에 대입하여 시간을 분류해 보면 아침에 해당하므로 아침해가 뜨는 방위인 동쪽, 새로운 시작의 의미로 새싹의 색상인 녹색 또는 청색을 의미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木이 어질 인(仁)을 의미하는 이유는 곡직과 굴신에서 보듯이 반듯한 행실과 타협할 줄 아는 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모든 사물이나 형상은 항상 일정한 기운을 바탕으로 분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火의 본질

火는 여름이라는 계절을 문자화한 것으로 화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는 여름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마땅하다.

여름을 맞이한 대자연은 봄에 솟아났던 새싹들이 무성한 잎으로 성장하고 사방팔방으로 그 세력을 펼쳐 나가는 모습이다.

음기가 물러감에 따라서 왕성한 성장을 보여주는 모습이라 하겠다.

즉 여러 방향으로 번져 나가거나 퍼져 나가는 운동성을 가진다.

이런 이유로 火를 확장 해석한다면 인생에서 왕성한 활동기인 청년기를 말하며 활동적 정열적 그리고 붉은색으로 해석하는 것은 여름의 밝고 더운 기운을 참고하여 해석한 것이라 하겠다.

火를 하루에 대입하여 시간을 분류하여 본다면 한낮에 해당하므로 더위를 상징하는 남쪽방위, 밝음과 빛을 상징하기 때문에 전기, 전자통신으로 분류할 수 있다.

火를 예절 예(禮)로 해석하는 것은 불과 밝음의 의미가 분명하고 확실한 점을 참고하여 분류한 것으로 보인다.

3) 土의 본질

土는 양과 음의 운동을 연결해 주는 역할로서 양기의 절정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여 火와 비슷한 운동성을 보인다.

여름에 막바지에 이른 대자연이 꽃을 피우고 마지막 열정을 펼친 다음에 이제 서서히 가을의 결실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보면 된다.

土은 양과 음의 중간단계에서 서로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방위는 중앙으로 분류되며 매매, 알선, 보관 등으로 해석한다.

土를 믿을 신(信)으로 해석하는 것은 음과 양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이 세상의 중앙에 황제가 있어 세상을 지배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중앙의 색을 황금색이라 했다.

4) 金의 본질

金은 가을이라는 계절을 문자화 한 것이고 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는 가을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마땅하다.

가을을 맞이한 대자연은 여름에 펼쳐졌던 기운들을 거둬들이고 열매를 맺고 잎을 떨어뜨리는 시기이다.

이러한 이유로 금을 확장해석하면 인생에서 장년기를 말하며 결실, 냉정, 그리고 흰색으로 해석하는 것은 가을에 메마르고 건조하여 잎은 버리고 열매를 얻는 이치와 같으며 색상 또한 녹색을 버리고 하얗게 마른 잎을 상징한다.

金을 하루에 대입하여 시간을 분류하면 저녁에 해당하므로 해가 지는 방위인 서쪽을 의미하고 분별과 강직함은 가을에 성장을 멈추고 겨울을 대비하여 생명력을 이어가기 위한 결단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그렇게 분류를 한 것이다.

金을 의로울 의(義)로 해석하는 것은 가을에 열매를 맺고 씨앗을 만들지 않으면 안되는 명분에 의해서 의로운 희생이 필요한 까닭이다.

변하지 않는 결단력을 상징하는 금은 숙살지기(熟殺之氣)로 불리는데 이는 생명을 죽이는 힘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5) 水의 본질

水는 겨울이라는 계절을 문자화 한 것이고 수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는 겨울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마땅하다.

겨울을 맞이한 대자연은 한 점 씨앗으로 모든 생명체를 수렴하고 동면에 든다.

이러한 이유로 수를 확장해석하면 인생에서 노년기를 말하고 수집, 교육으로 해석하는 것은 겨울에 모든 기운을 땅속으로 수렴하는 속성을 말하며 움직임이 없이 할 수 있는 행위가 공부이므로 학문과 교육으로도 해석한다.

수를 하루에 대입하여 시간을 분류하여 본다면 밤에 해당하므로 흑색으로 해석되며 방위는 추운 상황을 의미하여 북쪽을 의미한다.

수를 지혜 혜(慧)로 해석하는 것은 밤이나 겨울에 할 수 있는 일은 움직임이 없이 연구하고 집중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학문이나 지혜를 뜻한다고 하겠다.

3. 오행의 분류

1) 오행의 운동성 분류

가. 목(木)

목을 곡직(曲直)이라고 하여 굽고 곧은 것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나무의 생장형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속성을 갖는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겨울에 메마르고 삭막한 대지에 봄이 오면 싹이 올라오는 현상으로 느슨해진 음기를 뚫고 위로 솟아오르는 운동을 봄을 대표하는 목(木)운동이라고 한다.

나. 화(火)

화를 염상(炎上)이라고 하여 뜨겁고 상승하는 모습을 의미하며 뜨겁게 솟아오르는 속성을 지닌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봄에 올라온 새싹들이 여름을 맞이하여 사방으로 확장하고 퍼져나가는 현상으로 초목들이 잎과 줄기들을 펼치는 운동이 여름을 대표하는 화(火)운동이라고 한다.

다. 토(土)

토를 가색(稼穡)이라고 하여 씨앗부릴 가, 수확할 색을 말한다. 씨앗을 뿌리고 농작물을 거두어 들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기르고 수납하는 속성을 지닌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봄과 여름에 발산하고 팽창하려는 운동을 멈추고 이제 가을과 겨울의 수렴운동으로의 전환점을 만드는 운동이 토(土)운동이라고 한다.

라. 금(金)

금을 종혁(從革)이라고 하여 순종과 변경을 의미하며 변혁과 하강의 특징을 가진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가을을 맞이하여 모든 성장을 멈추고 잎이 마르고 열매를 맺어 아래로 떨어뜨리는 현상으로 수렴운동의 전 단계인 하강운동을 가을을 대표하는 금(金)운동이라고 한다.

마. 수(水)

수를 윤하(潤下)라고 하여 습하고 아래로 흐른다는 의미로 이러한 속성을 가진 모든 사물이 여기에 속한다.

겨울은 모든 기운을 씨앗으로 저장하고 수렴하는 현상으로 외부적인 움직임이 없는 휴식상태가 겨울을 대표하는 수(水)운동이다.

오행의 흐름을 나무에서 찾아본다면 봄이 오면 나무에 새싹이 나오고(木), 여름이 되면 나뭇잎이 무성해지며(火), 여름과 가을의 중간에 꽃들이 만개하고(土), 가을이 되면 열매를 맺고(金), 겨울이 되면 씨앗이 땅에 떨어진다(水).

2) 오행의 시간적 분류

가. 목(木)

하루의 시간대로 하루의 시작인 아침 시간대이다.

1년이라는 시간대로 보면 한 해의 출발인 봄을 말한다.

사람의 일생으로 본다면 소년기로 볼 수 있다.

나. 화(火)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활발한 움직임이 있는 한낮의 시간대이다.

일년의 시간대로 보면 무성한 잎과 꽃을 상징하는 여름이다.

사람의 일생으로 본다면 청년기의 열정이라고 볼 수 있다.

다. 토(土)

토는 계절의 성격을 갖는 것보다 중계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다.

12운성에서 보면 土는 火와 함께 같은 방향과 주기로 움직이고, 12지지에서는 계절의 끝에서 연결.수렴하는 작용을 한다.

라. 금(金)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활동의 마무리를 뜻하는 저녁시간대를 뜻한다.

일년이라는 시간대로 보면 잎이지고 열매가 맺는 가을이다.

사람의 일생으로 보면 원숙함의 시기인 장년기이다.

마. 수(水)

하루의 시간대로 보면 잠잘시간인 한밤중이다.

일년이라는 시간대로 보면 씨앗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겨울이다.

사람의 일생으로 보면 휴식상태로 접어들 노년기이다.

3) 오행의 물상 분류

가. 목(木)

섬유/ 의류/ 문구/ 목재/ 간판/ 커텐/ 표구/ 가구/ 청과/ 종묘/ 합판/ 주방기구/ 종이/ 제지/ 서적

나. 화(火)

통신/ 전자/ 방송/ 문화/ 사진/ 카메라/ 반도체/ 정유/ 가스/ 음악/ 학원/ 영상/ 화학/ 공학/ 전화

다. 토(土)

건축/ 토건/ 설비/ 부동산/ 숙박/ 창고/ 공예/ 석재/ 기와/ 도자기/ 축산/ 화물/ 주차장/ 수련원/ 농사

라. 금(金)

금/ 은/ 시계/ 보석/ 기계/ 공구/ 공업/ 금융/ 체육/ 광업/ 금속/ 총포/ 철강/ 증권/ 철물/ 건전지

마. 수(水)

유흥/ 해운/ 여행/ 식품/ 물류/ 통상/ 유통/ 교역/ 주류/ 수산/ 수도/ 속옷/ 목욕/ 냉동/ 생선/ 화장실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되세요.

감사합니다.

법안 합장

본문참조문헌 : 월인천강 新사주학 (서해스님 지음)

월인천강신사주학 - Daum 카페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