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천간은 지상에 있는 물상이 아니고 하늘에 떠 있는 기운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정신적인 면을 뜻한다고 하겠다. 10천간을 연극무대로 본다면 주인공이라고 하고 12지지는 조연이라고 하며 나중에 나오게 되는 지지 속에 내포 되어 있는 지장간은 엑스트라 라고 한다. 사주팔자를 볼 때는 천간에 있는 글자라도 지지에 배경이 없으면 생각으로 끝나는 것 처럼 판단하여 별로 강한 기운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
사주팔자는 년, 월, 일, 시 4개의 기둥에 각각 천간과 지지로 구성이 되어 글자가 여덟글자여서 사주팔자라 한다. 자주팔자 중에서 일간지가 있는데 여기서 일간이라는 날짜에 천간 글자는 그 사주의 주인공을 의미하는데 10천간 중에 한 글자가 거기에 해당 한다. 일간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성격과 타입을 결정하게 되는데 10천간이므로 10가지의 종류로 사람을 구분하여 판단하는데 활용을 한다.
일간이라는 한 글자만 보고서 사람의 성격이나 타입을 판단하는 단식판단법을 사용한다는 것은 아니고 월지를 참고하며 여러가지 합, 충, 형 등을 참고하여 판단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하게 참고 하는 것이 일간인데 그 글자를 통하여 어느정도 그 사람의 성격이나 성향을 파악 할 수가 있다. 자기 자신을 알고 남을 알면 나를 이해하고 남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상대방을 모르면 이유를 몰라서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木을 일간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甲, 乙 일간인데 주로 언변이 좋고 대화와 타협을 잘하고 계획을 잘 세우며 융통성이 좋은 사람이 많다. 火를 일간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丙, 丁 일간인데 주로 성격이 급하고 다혈질이고 예의가 바르며 활동적인 성향이 많다. 土를 일간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戊, 己 일간인데 주로 포용력이 있고 후덕한 인심을 지닌 경우가 많다. 金을 일간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庚, 辛 일간인데 주로 말 보다는 행동이 앞서고 결단력이 있으며 냉정한 사람이 많다.
水를 일간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壬, 癸 일간인데 주로 지혜롭고 조용하며 움직임이 없는 경우가 많다. 조금 더 세분화 시키면 10가지로 분류를 할 수가 있는데 각각 성격이나 성향이 다르며 타고난 기질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타고난 성질은 노력이나 공부에 의해서도 잘 변하지 않으며 잠재되어 있다가 나타나게 된다. 서로 상반되는 기운을 가진 일간 끼리는 충돌을 하고 비슷한 성향끼리는 잘 통한다고 느끼며 사는 것이다.
부부사이나 친구사이 또는 모든 인간관계에서 서로 반대되는 기운의 성격들이 충돌하는 상황을 우리는 자주 목격하게 된다. 木과 金은 서로 반대가 되는 기운으로 木이 솟아 오르는 운동을 한다면 金은 아래로 떨어지는 운동을 한다. 만약에 木일간의 입장에서 보면 金일간의 성격이나 행동이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런 문제로 인해서 서로 다투고 미워하며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말할 것이다. 金일간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로 木일간을 이해하지 못한다.
명리학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그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 이유는 성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대자연의 법칙에 따라서 반대되는 성향을 갖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본다. 해결 방법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면 된다. 서로 다른 방향의 기질을 자신에게 맞추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고 그렇게 될 수도 없다. 그점을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있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그런 이치를 모르면 이유도 모르고 "저 사람은 참 이상한 성격"이라고 판단을 하고 멀리 하게 될 것이고 만약 자연에 이치를 안다면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월인천강[강의록] > 간지론 강의록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의 법칙과 명리학 (0) | 2020.07.31 |
---|---|
10천간과 12지지 (0) | 2020.07.31 |
12지지와 직업 (0) | 2020.07.31 |
지장간 (0) | 2020.07.31 |
천간의 합, 충 (0) | 2020.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