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운성은 10천간의 각 글자가 12지지를 만나서 생로병사 과정을 겪고 윤회하는 모습을 자세히 보여 주는 것으로 10천간의 탄생과 소멸의 주기를 보여 주는 것이 12운성이며 포태법이라고도 한다. 사주학에서는 만물의 탄생과 소멸이 12가지의 단계를 거쳐서 일어 난다고 보았다. 모든 만물은 12가지의 과정을 거쳐서 존재했다가 사라진다고 보는 사주학의 입장을 잘 정리해서 보여 주는 것이 12운성이라고 하겠다.
사주학에서는 인간의 삶을 생로병사로 표현하듯이 세상 만물을 생,왕,사,절로 표현하는데 무(無)에서 유(有)가 생겨나는 과정을 생(生)이라고 하고 그것이 성장해서 극에 다다른 것이 왕(旺)이라고 하며 그것이 점차 쇠락하여 죽는 것이 사(死)라고 하고 그것이 결국 사라지는 것이 절(絶)이라고 한다. 12운성 포태법은 만물이 죽어서 사라지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다시 태(胎)를 통해서 세상에 돌아올 준비를 하고 양(養)을 통해서 탄생을 준비한다고 보았다.
12운성의 진행 단계는 1. 장생(長生) -> 2. 목욕(沐浴) -> 3. 관대(冠帶) -> 4. 건록(建祿) -> 5. 제왕(帝旺) -> 6. 쇠(衰) -> 7. 병(病) -> 8. 사(死) -> 9. 묘(墓) -> 10. 절(絶) -> 11. 태(胎) -> 12. 양(養)의 과정을 거쳐서 일어난다. 마치 인간이 태어나고 자라서 늙고 병들어 죽는 과정과 다시 잉태가 되어 윤회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처럼 대자연의 모든 만물이 윤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12운성이다.
장생이라는 것은 인간이 처음 태어나거나 식물이 싹을 티우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말한다. 목욕은 인간이 태어나서 처음 목욕을 시키듯이 때를 씻는 것을 말하고 식물은 새싹이 파릇파릇 올라오는 것을 말한다. 관대는 인간이 점차 성장을 하여 옷을 입고 허리에 띠를 두르는 것과 같다. 건록은 인간이 장성하여 관리에 임명되는 것과 같다. 제왕은 인간이 체력이나 정신력이 절정에 달하여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를 말한다.
쇠는 인간이 가장 왕성한 시기를 지나서 늙어가는 상태를 말한다. 병은 쇠약하여 병이 들고 약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사는 병이 들어 죽은 상태로 움직임이 없는 것을 말한다. 묘는 인간이 죽어서 무덤에 들어가는 상태를 말하며 식물이 씨앗 상태로 저장하는 상태를 말한다. 절은 모든 교신이 끊긴 상태로서 12운성 중에서 가장 약한 상태를 말한다. 태는 인간이 태아로 잉태되는 상태를 말한다. 양은 인간이 태아로서 자라나는 상태를 말한다.
천간 甲(木)이 지지 亥를 만나면 장생을 하고 子를 만나면 목욕을 하며 丑을 만나면 관대를 하고 寅을 만나면 건록을 하며 卯를 만나면 제왕을 하고 辰을 만나면 쇠하며 巳를 만나면 병하고 午를 만나면 사하며 未를 만나면 묘하고 申을 만나면 절하며 酉를 만나면 태하고 戌을 만나면 양한다. 12운성에서 장생과 제왕 그리고 입묘지를 모으면 亥卯未가 되는데 이것이 木국 삼합이 되는 것이다. 삼합은 12운성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을 모아서 합하는 것이 삼합인 것이다.
12운성을 채택하지 않는 책들이 많고 실제 감명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현상인데 필자는 모든 만물의 윤회하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밝혀 놓은 12운성이야말로 사주학의 가장 훌륭한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크게는 오행의 생로병사를 밝혀주는 포태법이고 작게는 10천간의 탄생과 소멸과정을 알려 주는 중요한 이론이라고 본다. 대자연의 탄생과 소멸과정은 우리 인간의 삶과 깊은 연관이 있는 중요한 핵심자료라고 본다.
서 해[西海] 합장_()_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명리 정보 > 서해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프로가 되는 길 (0) | 2020.08.17 |
---|---|
19. 육친의 확장 (0) | 2020.08.17 |
17. 변화를 일으키다. (0) | 2020.08.13 |
16. 사랑과 전쟁 (0) | 2020.08.09 |
15. 숨겨진 마음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