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 사주카페컨설팅

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2

월인천강신사주학 - 지장간과 월령용사

서 해(西海) 2021. 5. 27. 12:32

 

제 6 강 지장간(支藏干)과 월령용사(月令用事)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지장간은 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해자평]을 한글로 번역하여 전하는 과정에서 월령용사(月令用事)와 지장간(支藏干)의 내용을 번역하는 과정에 잘못 해석한 것으로 두 개는 구분지어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최근에 학자들이 하고 있고, 월인천강新사주학에서는 지장간과 월령용사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지장간은 기본적으로 地支 속에 천간의 기운이 지장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월령용사는 사주명조의 월지에만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1. 지장간 (支藏干)







戊庚


乙己





 

지장간(支藏干)은 지지장간(地支藏干)이라고도 부른다.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순수하게 소속되어 있는 천간을 의미한다.

 

2. 지장간의 계통별 분류

각기 다른 지장간을 가지고 있는 지지들의 특성 또한 모두 다르지만 공통점을 지닌 계통별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子, 午, 卯, 酉

사왕(四旺) 또는 사정(四正)이라고 하며 오행의 가장 순수한 기운을 의미하고 춘하추동의 핵심역할을 하는 달이 되어 각 계절의 중심 기운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개성과 주관이 뚜렷하고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다른 오행의 기운으로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2) 寅, 申, 巳, 亥

사생(四生) 또는 사맹(四孟)이라고도 하고 모두 양간(陽干)만 3개를 가지고 있으며 매사에 의욕이 강하고 기획이나 시작 등의 창의력이 좋고 설계 등에 소질이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3) 辰, 戌, 丑, 未

사묘(四墓) 또는 사고(四庫)라고 하며 辰,戌은 음간 2개와 양간 1개를 가지고 있고, 丑, 未는 음간만 3개를 가지고 있다. 만물의 저장과 보관을 주도하며 종합이나 포용 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모든 것을 감추고 있다는 뜻이 있다.

 

3. 월령용사(月令用事)

월령용사는 춘하추동 1년의 흐름을 하나의 순환 고리로 생각해서 각 계절에 따른 12지지를 배치하고 각 월마다 1개월간의 기후 변화에 따른 천간의 배치를 나타낸 방식이다.

절입일로부터 차례대로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로 구성되어 있다.

 

(1) 여기(餘氣)

지난달의 기운이 이월되어 남아 있다는 뜻으로써 앞 절기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寅月의 여기는 지난달의 정기(正氣)와 동일한 오행으로서 丑月의 정기인 己가 양토(陽土)로 바뀌어 戊가 된 것이다.

 

(2) 중기(中氣)

여기에서 정기에 이르는 중간기로서 중기는 월령용사에서 가장 세력이 약하고 다른 지지와 삼합(三合)하여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항상 변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따.

 

(3) 정기(正氣)

그 달의 본래 기운으로 다른 이름으로 본기(本氣)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지지가 지닌 오행과 동일한 천간이 되고 그 지지의 사령관 격으로서 가장 왕성한 기운을 말한다. 정기는 월령용사 중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핵심과 같은 중추적인 작용을 한다.

 

 

[참고문헌 : 월인천강 新사주학 ]

 

월인천강신사주학 - Daum 카페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