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강 육친
1.육친의 의미
육친(六親)은 사주팔자의 꽃이라 불리며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일간(日干)과 나머지 7글자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육신(六神), 십신(十神), 십성(十星)이라고도 한다. 일간을 중심으로 10천간과 12지지를 의인화시키는 작업이라고 하겠다. 사주의 주인에 해당하는 일간과 나머지 글자와의 생극(生剋)관계와 음양(陰陽)의 차이를 가려 조상과 부모형제(父母兄弟), 처자식(妻子息) 또는 남편(男便)과 같은 혈연관계(血緣關係)뿐 아니라 사회적 지위와 명예, 대인관계, 의식주와 재산 등을 구분하는 것으로서 명리학의 중심인 것이다.
육친은 일간(日干)이 운(運)에서 만나는 대운과 세운과의 관계도 사주와 마찬가지로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 어떻게 작용하며 변화하는가를 살펴본다. 육친은 인성(人星), 관성(官星), 재성(財星), 식상(食傷), 비겁(比刧)의 오성(五星)과 나를 포함하여 육친(六親)이 되는데 이 중에서 앞의 오행을 음양의 구분에 따라 다시 자세히 나누면 십신[十神]이 되는 것이다. 십신은 크게 나누어 정(正)과 편(偏)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正)이란 음양의 배합이 바르게 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편(偏)이란 음양이 한쪽으로 치우쳐 편중(偏重)되어 있다는 뜻이다.
십신의 종류는 인성에서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으로 관성에서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으로 재성에서 정재(正財)와 편재(偏財)로 식상에서 식신(食神)과 상관(像官)으로 비겁에서 비견(比肩)과 겁재(劫財)로 나누어진다. 육친의 명칭은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의 10가지로 나누어진다. 육친의 표출(表出)이란 육신을 찾아내는 방법을 말하는데 앞서 말한 대로 일간을 기준으로 하여 오행의 생극(生剋)관계와 음양(陰陽)의 구분에 따라 나누어진다.
2.육친의 분류
비견(比肩) :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도 같은 것.
겁재(劫財) : 일간과 오행이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것.
식신(食神) : 일간이 생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것.
상관(像官) : 일간이 생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편재(偏財) :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것.
정재(正財) :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편관(偏官) :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것.
정관(正官) :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편인(偏印) : 일간을 생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것.
정인(正印) : 일간을 생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1)천간육친 조견표
예)甲(木) 일간과 천간과의 육신 표출
甲은 일간인 甲과 음양오행이 같으므로 ----- 비견(比肩)
乙은 같은 오행이지만 음양이 다르므로 ----- 겁재(劫財)
丙은 甲목이 생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식신(食神)
丁은 甲목이 생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상관(傷官)
戊는 甲목이 극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편재(偏財)
己는 甲목이 극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정재(正財)
庚은 甲목을 극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편관(偏官)
辛은 甲목을 극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정관(正官)
壬은 甲목을 생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편인(偏印)
癸는 甲목을 생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인수(正印)
* 천간육친 조건표 *
육 친 | 비 견 | 겁 재 | 식 신 | 상 관 | 편 재 | 정 재 | 편 관 | 정 관 | 편 인 | 인 수 |
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乙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丁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戊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己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庚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辛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壬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癸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亥, 子(水)와 巳, 午(火)는 체(體) 용(用)의 음양이 다르다는 점이다. 子의 본체는 양이지만 용할 때는 음으로 보고 亥의 본체는 음이지만 용할 때는 양으로 사용한다. 巳, 午(火)도 마찬가지가 되겠다. 亥는 천간의 壬으로 子는 癸는 천간의 壬으로 子는 癸로 巳는 丙으로 午는 丁으로 바꾸어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2)지지육친 조견표
예)甲(木) 일간과 지지와의 육친 표출
寅은 甲(木) 일간과 음양오행이 같으므로 ----- 비견(比肩)
卯는 같은 오행이지만 음양이 다르므로 ----- 겁재(겁재)
辰은 甲목이 극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편재(偏財)
巳는 甲목이 생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식신(食神)
午는 甲목이 생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상관(傷官)
未는 甲목이 극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정재(正財)
申은 甲목을 극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편관(偏官)
酉는 甲목을 극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정관(正官)
戌은 甲목을 극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편재(偏財)
亥는 甲목을 생하는데 음양이 같으므로 ----- 편인(偏印)
子는 甲목을 생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인수(正印)
丑은 甲목이 극하는데 음양이 다르므로 ----- 정재(正財)
* 지지육친 조견표 *
육 친 | 비 견 | 겁 재 | 식 신 | 상 관 | 편 재 | 정 재 | 편 관 | 정 관 | 편 인 | 인 수 |
甲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乙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丙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丁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戊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己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庚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辛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壬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癸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3)육친 상생과 상극
오행 상생상극의 관계처럼 육친도 상생과 상극의 개념을 도입해서 육친끼리의 상생법과 상극법이 있다. 사주팔자를 인간관계에 대입하여 의인화하는 작업에서 어느 정도 한계를 드러내는 부분도 있다. 여기서는 완벽한 관계를 정립하기보다는 기본적인 관계 차원에서 상생과 상극법을 정리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가.상생법
비견, 겁재는 식신, 상관을 생한다.
식신, 상관은 편재, 정재를 생한다.
편재, 정재는 편관, 정관을 생한다.
편관, 정관은 편인, 인수를 생한다.
편인, 인수는 비견, 겁재를 생한다.
나.상극법
비견, 겁재는 편재, 정재를 극한다.
편재, 정재는 편인, 인수를 극한다.
편인, 인수는 식신, 상관을 극한다.
식신, 상관은 편관, 정관을 극한다.
편관, 정관은 비견, 겁재를 극한다.
*양(陽)은 양을 극하고 음(陰)은 음끼리 극한다.
3.육친의 가족관계
육친의 가족관계는 한정된 인간관계에서 설정이 가능하지만 무한 확장하여 대입하면 모순이 생긴다. 예를 들어 나를 낳은 인성이 모친인데 모친을 낳은 관성은 외갓집이 되고 또한 외가의 뒤에 재성이라는 부인이 있다면 복잡하게 되고 답이 안 나온다. 또한 남자를 기준으로 재성은 부인이고 편재는 애인인데 편재가 부친도 된다는 것이 뭔가 적당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러므로 육친관계는 단순하게 가장 가까운 관계를 우선으로 적당히 확장을 해야지 너무 넓게 포괄적으로 확장을 하면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완벽한 구성을 원한다면 그것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들을 감안하여 확장한다면 사주의 꽃이라는 육친을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육친 | 남 자 | 여 자 |
비 견 | 형제, 친구, 조카 | 형제, 친구, 조카 |
겁 재 | 이복형제, 나쁜 친구 | 이복형제, 남편, 첩 |
식 신 | 장모, 부하직원, 사위 | 아들, 증조부 |
상 관 | 손녀, 처갓집 | 딸, 할머니 |
편 재 | 아버지, 첩, 처의 형제 | 시어머니, 아버지 |
정 재 | 아내, 숙부, 고모 | 시가집, 숙부, 고모 |
편 관 | 아들, 외조모 | 애인, 남자 |
정 관 | 딸, 자식, 조카 | 남편, 증조모 |
편 인 | 계모, 유모, 이모 | 계모, 이모, 유모 |
인 수 | 어머니, 장인 | 어머니, 사위 |
4.육친의 성정
오행이나 각 천간지지로서의 특성을 떠나서 육친 자체가 가지는 성정이나 뜻을 분석하기 위해서 분류하여 확장하는 것이니 그 의미를 새기고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하라.
비 견 | 독립, 행동, 고집, 고독, 동업자, 경쟁자 |
겁 재 | 투쟁, 폭력, 야망, 겁탈, 파행, 독단 |
식 신 | 투자, 사교성, 유흥, 낙천적, 베풀다 |
상 관 | 총명, 재주, 예술, 비판, 교만, 공상 |
편 재 | 횡재, 융통, 풍류, 도박, 큰 무대, 잡기 |
정 재 | 인정, 정직, 수전노, 부지런함, 구두쇠 |
편 관 | 무력, 군인, 경찰, 검찰, 개혁, 과시 |
정 관 | 통솔, 지배, 처세, 정직, 단정, 모범, 정의 |
편 인 | 눈치, 재치, 처세, 머리비상, 용두사미 |
인 수 | 학식, 덕성, 자비, 생산, 학문, 종교, 모성애 |
<참고 문헌 : 월인천강신사주학 >
월인천강신사주학
현대명리 표준감명법 "월인천강신사주학"
cafe.daum.net
'월인천강[강의록] > 간지론 강의록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운성 (0) | 2021.04.14 |
---|---|
육친의 해석과 확장 (0) | 2021.04.13 |
지장간 (0) | 2021.04.11 |
천간과 지지의 이해 (0) | 2021.04.09 |
천간과 지지 (0) | 202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