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 사주카페컨설팅

월인천강 사주카페

월인천강[강의록]/간지론 강의록1 192

사주에 없는 오행과 육친

제1강 사주에 없는 오행과 육친 사주팔자를 분석하는 방법은 크게 신살론과 격국용신론 그리고 간지론으로 나뉘는데 현재는 신살론을 사용하는 학파는 거의 없고 일반적으로 격국용신론을 이용하여 감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격국용신론이 한계상황에 부딪쳐 많은 오류가 발생하여 최근에는 간지론이라는 감명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는 감명법의 종류와 관계없이 사주를 분석하는 방법들을 여러 가지 형태로 제시해 보는데 먼저 사주팔자에 없는 오행이나 육친을 어떻게 해석하는가를 살펴보겠다. 사주팔자를 감명하는 데 있어서 가장 먼저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오행이나 육친이 없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오행 중에 없는 글자의 해석 (1)木이 없는 경우 사주팔자에 木이 없다는 것은 계절적으로 봄의 ..

사주정립법

제12강 사주정립법(四柱定立法) 사주팔자(四柱八字)란 네 기둥이란 뜻으로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를 말하며 각 기둥에 천간과 지지가 두 글자씩을 만들어 모두 여덟 글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사주팔자(四柱八字)라 한다. 사주정립법에서는 생년, 월, 일, 시의 간지를 정하는 법을 설명하는데 여기에서 설명하는 모든 부분을 암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보통은 만세력(萬歲曆)이라는 책을 이용하여 작성하면 된다. 어떤 원리로 사주팔자를 정하고 작성하는지를 알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여 여기에서 설명을 하는 것이고 실전에서는 만세력을 준비하여 작성하기 바란다. 1.년주(年柱) 정하는 법 년주(年柱)를 정하는 법은 예를 들어서 사주에 주인공이 서기 2000년에 태어났다고 하면 2000년은 경진년..

대운과 세운

제11강 대운과 세운 ​ 1.대운의 배열법 (1)사주와 운의 관계 사주가 30%, 운이 70%라는 말이 있듯이 운명을 살필 때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운이라고 하겠다. 사주는 고정적이고 운(運)은 유동적인 것으로 아무리 사주를 좋게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운을 잘못 만나면 잘 풀리지 않으니 소용없다는 것이다. 일간은 시간의 변화인 대운과 세운의 제한을 받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운이 인간의 길흉화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운이란 인생의 행로와 같은 것인데 우선 사주의 구조를 살피고 분석한 후에 대운과 세운의 방향을 분석하여 운명을 감정하는 것이다. ​ 사주가 좋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운을 만나더라도 한계가 있을 것이니 기본적인 사주의 형태를 관찰하는 것 또한 중요하겠다. 그릇의 크기는 ..

합, 충, 형

제10강 간섭인자(합, 충, 형) 합(合)이라는 글자의 뜻은 “합하다””여럿이 모여 하나가 되다””만나다””맞다””틀리거나 어긋남이 없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1.천간 합(天干 合) 천간은 지지와는 달리 지상에 물상이나 실제현상이 아닌 정신적인 것 또는 기운을 뜻한다. 천간 합은 간합(干合)이라고도 부르고 가장 이상적인 합이며 부부 합이고 정신적 끌림을 말한다. 천간 합을 부부 합으로 부르는 이유는 서로 합하는 두 글자가 상대적으로 정관과 정재가 되기 때문이다. 천간 합은 정신적인 합이므로 서로 합을 탐하여 역량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천간은 합을 꺼린다. 십간(十干) 중에 다섯 개의 양간(陽干)은 각각 다섯 단계 아래의 음간(陰干)과 합을 이룬다. 모두 5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양 합 또는 ..

12운성

제9강 12운성 10천간에 대하여 12지지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천간과 지지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으로 격국 용신론을 사용하는 기존 학계에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지만 10천간의 생로병사 그리고 천간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대목이니 자세히 알아두어야 한다. 生 浴 帶 官 旺 衰 病 死 墓 絶 胎 養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 1.10천간의 생로병사 10천간의 탄생과 소멸의 주기를 보여주는 것이 12운성이며 일명 포태법이라고도 한다. 모든 만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한 공간 속에서 잠시도 쉬지 않고 변화하는데 한 순간도 변화하지 않을 때가 없다. 모든 만물이 변화한다는 것은 불변의 진리이며 변화와 발전은 항상 나름대로의 일정한 법칙에 따라 ..

육친의 해석과 확장

제8강 육친의 해석과 확장 사주팔자를 감명하는데 있어 육신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대단히 크고 중요하다. 육친을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하며 그 변화의 추이를 어떻게 확장하고 통변하느냐에 따라서 명리의 깊이를 가늠하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육친관계만을 분류하여 암기하는 수준으로 만족하기보다는 물상이나 성정, 현상 등으로 확장 해석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아야겠다. 육친은 무한한 변화와 응용이 가능하므로 학인들의 깊은 성찰과 연구가 필요하다. 육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니 근본과 핵심이 되는 육친을 무시하고는 학문에 진전이 없을 것이니 그 점을 명심하고 아래에 육친의 개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1장 육친의 해석 1.비견(比肩) 비견은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것을 말한다..

육친

제7강 육친 1.육친의 의미 육친(六親)은 사주팔자의 꽃이라 불리며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일간(日干)과 나머지 7글자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육신(六神), 십신(十神), 십성(十星)이라고도 한다. 일간을 중심으로 10천간과 12지지를 의인화시키는 작업이라고 하겠다. 사주의 주인에 해당하는 일간과 나머지 글자와의 생극(生剋)관계와 음양(陰陽)의 차이를 가려 조상과 부모형제(父母兄弟), 처자식(妻子息) 또는 남편(男便)과 같은 혈연관계(血緣關係)뿐 아니라 사회적 지위와 명예, 대인관계, 의식주와 재산 등을 구분하는 것으로서 명리학의 중심인 것이다. 육친은 일간(日干)이 운(運)에서 만나는 대운과 세운과의 관계도 사주와 마찬가지로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 어떻게 작용하며 변화하는가를 살펴본다. 육친은 인성(人星..

지장간

제6강 지장간(地藏干) ​ 지금까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지장간(地藏干)은 [연해자평]을 번역하고 전하는 과정에서 월령용사를 지장간(地藏干)으로 잘못 알고 해석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지장간은 따로 있고 지장간과 월령용사는 구분지어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최근에 일부 학자들이 하고 있다. ​ 필자는 그 뜻에 공감하여 지장간과 월령용사 또는 월률분야도(月律分野圖)를 구분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지장간은 기본적으로 지지 속에 천간의 기운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월령용사 또는 월률분야도는 글자 뜻 그대로 사주명조의 월지(月地)에만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아두기 바란다. ​ 12지지 속에 각각 천간의 기운을 저장하고 있는데 그것을 지장간 또는 인원용사(人元用事)라고 부른다. 12지지는 ..

천간과 지지의 이해

제5강 천간과 지지의 이해 ​ 1.천간의 이해 (1)甲(木) 甲은 하늘로 치솟는 성질을 가지며 거북의 등딱지, 껍질, 씨의 껍질 등을 뜻하며 고집이 세고 자기만의 세상에 빠져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甲이란 문자는 밭(田) 한가운데에 뿌린 씨앗이 땅 밑으로 뿌리(甲)를 내린다는 뜻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초목(草木)의 최초 생장을 의미하며 껍질을 뚫고 나오는 모습을 나타낸다. 10천간의 첫 글자로 시작(始作)과 개척(開拓), 기획하고 성장하는 운동성을 가지며 우두머리를 상징하고 하늘에서는 벼락, 천둥, 놀라다, 성내다, 권위 등을 상징하기도 한다. ​ 물상으로는 산림, 조경, 원예, 건축, 가구, 총무, 소나무와 같은 큰 나무, 목재, 가로수, 기둥, 고층 건물 등을 뜻한다. 성정은 甲(木)은 보스 기질이 있..

천간과 지지

제4강 천간과 지지 ​ 1.오행의 천간지지 분화 [자평진전]에서 이르기를 오행이 있는데 무슨 까닭으로 또 10간, 12지지가 있는 것일까? 대저 음양이 있고 이로 인하여 오행이 생겨난 것이니 오행의 가운데에는 각각의 음양이 있는 것이다. 즉 木을 가지고 논하자면 甲, 乙은 목의 음양이 된다. 갑은 을의 기(氣)다. 을은 갑의 질(質)이다. 하늘에서 생기가 되어 만물에 두루 행하는 것은 갑이며 땅에서 만들이 되어 이 생기를 잇는 것은 을이고 더 세분하지만 생기가 흩어져 퍼진 것은 갑의 갑이며 생기가 모여 이루어진 것은 갑의 을이다. 이 갑과 을이 있어 목의 음양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어째서 다시 寅, 卯가 있는 것일까? 인, 묘라는 것은 또 갑, 을과 더불어 음양과 천지로 나누어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갑..